
새정치민주연합 한반도평화안전보장특별위원회 박지원 위원장은 24일 남북 고위급 접촉과 관련, "사실을 인정하게 하고, 사과를 받고, 재발방지책을 찾겠다고 하면 굉장히 난망해진다. 근본적으로 남북 관계가 개선 될 수 있는 출구전략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위원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상대가 있기에 입구전략에 얽매이는 것 보다는 거시적으로 남북관계를 해결하는 데 앞서는 것이 좋겠다"며 이 같이 밝혔다.
박 위원장은 "전쟁은 우연하고 막연하게 시작된다"며 "어떠한 경우에도 전쟁이 있어서는 안된다"고 힘주어 말했다.
그는 이어 "과거 연평해전과 금강산 관광이 중단된 박왕자씨 피격 사건 당시에도 전략적인 접근을 통해 북측이 직·간접적으로 우리에게 사과하게 한 바 있다"며 "이런 경험을 살려 우리에게는 전술적 접근보다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남북 고위급 접촉이 길어지고 있는 점에 대해선 "우리는 이번 회담이 길어지는 것에 대해 우려를 표하고 있지만 저는 좋은 징조라고 생각한다"며 "회담 그 자체보다는 북측이 김정은의 지시를 받을 때 통신 문제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것이라 본다"고 예측했다.
그러면서 "협상 중에 남북 군사력을 전진배치하는 것은 그렇게 염려할 필요가 없다"며 "현재 한미군사훈련이 계속 되고 있어 북한에서도 같은 입장으로 대응조치를 하는 것이고, 휴전 협상을 앞두고 폭격을 강화하는 일이 있었으니 과민하게 대응할 필요가 없다"고 밝혔다.
그는 문재인 대표가 '회담 상황과 관련한 정보를 미국 측에만 제공하고 있다'고 지적한 점에 대해선 "정부가 보안조치를 하면서 북한을 자극하지 않는 복안을 하는 것"이라며 "새누리당에서 자꾸 전쟁을 부추기는 자극적 언사를 하기 때문에 정부가 오히려 그런 세력의 자제를 요구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