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노동조합총연맹(위원장 김동만)의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노사정위) 복귀 여부가 오는 26일께는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한국노총은 18일 오후 열린 중앙집행위원회(중집)에서 오는 26일 중집 회의를 다시 열고 노사정위 복귀 여부를 공식 안건으로 다루기로 했다고 밝혔다.
당초 이날 중집에서는 노사정위 복귀여부를 다루기로 했지만 노사정위 복귀를 반대하는 일부 노조원들의 회의개최 저지로 4시간30여 분만에 개최된 뒤 15분여 만에 종료됐다. 반대 노조원들로 인해 사실상의 핵심 사안은 상정조차 못한 셈이 됐다.
특히 오는 26일 중집에서도 이날 처럼 노사정위 복귀를 반대하는 노조원들이 또 다시 회의개최를 저지하거나 안건상정을 가로막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럴 경우 한국노총의 노사정위 복귀가 불발될 수도 있다는 우려섞인 전망도 나오고 있다.
강훈중 한국노총 대변인은 "(오늘 중집에선) 22일 전국노동자대회와 25일 금융노동자대회에 한국노총이 동참한다는 내용을 논의했다"며 "노사정위 복귀 문제에 관해선 26일 오전 중집을 다시 소집해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지난 4월 파행 이후 노사정위가 재가동될지 여부는 26일 다시 소집되는 중집을 통해 판가름나게 됐다.
현재 한국노총 산하 산별노조 등에서 노사정위 복귀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높다.
하지만 이들 중에도 복귀 전 한국노총이 정부에 일반해고 지침과 취업규칙 변경에 대한 입장을 명확히할 경우 복귀에 찬성하는 입장도 더러 있어 노사정위 복귀 가능성은 남아있는 상태다.
이들은 ▲일반해고 지침과 취업규칙 변경을 노사정위 의제에서 제외한다는 점을 복귀 전에 명시하고 ▲일반해고 지침과 취업규칙 변경이 논의될 경우 노사정위를 재보이콧할 가능성을 열어두자는 입장이다.
한국노총은 일단 오는 22일 열릴 전국 노동자대회에서 현장 노동자들의 의견을 취합할 방침이다. 이 때문에 노사정위 재가동이 완전히 불가능한 것은 아니라는 전망도 나온다.
(사진)1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새누리당 대표실에서 열린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김무성 대표가 한국 노총에서 노사정 복귀 논의를 위한 중앙집행위원회 개최가 금속 화합 등 산별 노조 조합원들이 회의장을 점거하여 무산 된 것과 관련 이야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