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혁신·핵심광물 공급망, 포용적 기회 창출로 이어져야”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참석차 남아프리카공화국을 방문 중인 이재명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2028년 G20 정상회의 의장직을 맡는 데 대해 “막중한 책임감으로 G20가 국제경제협력을 위한 최상위 포럼으로 그 위상을 공고히 할 수 있도록 주어진 역할을 충실하게 이행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요하네스버그에서 ‘모두를 위한 공정한 미래’를 주제로 열린 G20 정상회의 제3세션에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은 위기의 순간마다 국제사회의 나침반이 되어준 G20를 함께 설계한 나라로서, G20 정상회의 출범 20년인 2028년 다시 의장직을 맡아 여정을 함께 이어가려 한다”고 했다.
G20 정상들은 ‘모두를 위한 공정한 미래’를 주제로 열린 세 번째 세션에서 핵심광물, 양질의 일자리, 인공지능(AI) 문제 등을 논의했다.
이 대통령은 “기술의 발전은 인류에게 큰 기회이자 동시에 커다란 도전”이라며 “인공지능 혁신과 핵심광물 공급망 회복력 강화는 포용적인 기회 창출로 이어져야 한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인공지능 기술 발전은 모든 국가와 모든 이들에게 고른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며 “대한민국도 모든 인류가 인공지능(AI) 혜택을 고루 향유하는 ‘글로벌 AI 기본사회’ 실현을 위해 국제사회와 적극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특히 금년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의장국으로서 이런 정신을 반영한 ‘APEC AI 이니셔티브’가 아태지역을 넘어 전 세계로 확산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대한민국은 소외되기 쉬운 계층에게 인공지능 접근 기회를 보장하는 ‘AI 디지털배움터’를 구축하고 청년 맞춤형 AI·소프트웨어 교육을 확대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아프리카 내 여성과 청년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고 약속했다.
핵심광물 공급망 구축도 언급했다. 이 대통령은 “광물 보유국과 수요국이 혜택을 공유하는 안정적이고 호혜적인 핵심광물 공급망을 구축해야 한다”며 “올해G20에서도 이러한 취지의 ‘G20) 핵심광물 프레임워크’ 논의가 이루어진 것을 의미 있게 생각한다”고 했다.
이어 “대한민국은 ‘핵심광물 안보 파트너십’ 의장국으로서 광물 공급국과 수요국의 필요에 맞는 호혜적 광물 협력사업을 적극 확대해 왔다”며 “’한-아프리카 핵심광물대화’를 통해 상호 신뢰에 기반한 협력 강화에도 힘쓰고 있다”고 소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