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 상충 해소 목적…최근 美불확실성 커져 분할 결정”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인적분할 방식을 통해 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과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사업으로 분할한다. 사업을 완전히 분리해 사업간 이해충돌을 해소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겠단 방침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유승호 부사장(CFO)은 22일 온라인설명회에서 인적분할 배경으로 “두 사업이 하나의 실체로 인식됨에 따라 고객·투자자의 이해 충돌이 있었다”며 “이러한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사업적인 배경이 중요한 의제로 부각됐다. 사업 운영 전반 리스크가 지속돼 이해 상충 우려를 불식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제약사 제품을 위탁생산하는 삼성바이오로직스와 고객사 제품과 경쟁하는 바이오시밀러를 개발하는 삼성바이오에피스에 대해 고객사들로부터 운영 오해가 지속 제기됐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이어 “현재 미국의 관세 부과, 약가 인하 등 대외 정책의 불확실성 증대로 이해상충 우려 부각 가능성이 커져 지금 해야 한다고 판단했다”며 “또 사업 속성이 다른 양사의 수주사업과 개발사업의 가치가 온전히 번영되지 못하고 성장성 및 수익성도 희석됐다”고 설명했다.
이날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단순·인적분할 방식으로 바이오의약품 CDMO 사업과 바이오시밀러 사업을 분리한다고 밝혔다. 분할을 통해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순수 CDMO 회사로 거듭나게 된다. 삼성바이오에피스의 지주회사로 신설되는 삼성에피스홀딩스는 향후 바이오시밀러 기업인 삼성바이오에피스를 완전 자회사로 편입할 예정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삼성에피스홀딩스(지주사)·삼성바이오에피스(자회사)가 완전히 분리돼 사업을 운영하는 것이다.
분할 이후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근원적 리스크 제거에 따른 사업 안전성 및 경쟁력 제고, 회사별 독립경영 강화, 기업가치 재평가를 기대했다. 에피스홀딩스는 바이오 투자 지주회사로 신성장동력을 발굴하고, 삼성에피스는 지속적인 바이오시밀러 제품 출시로 기업가치를 재평가 받게 될 것으로 기대했다.
분할 후 삼성바이오에피스의 상장 추진 여부에 대해선 김형준 삼성바이오에피스 부사장이 “분할 후 삼성바이오에피스의 기업 가치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겠으나 지금 당장은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삼성에피스홀딩스는 주주친화경영과 선진 거버넌스 체제를 구축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IR활동을 정례화하고 사외이사 중심 경영체제 구축, 5대 이사회내위원회를 설치할 예정이다. 또 중복상장 우려 해소를 위해 삼성바이오에피스 중복상장을 5년 동안 실시하지 않는다.
유 부사장은 “삼성바이오에피스가 바이오시밀러 사업에 집중한다면 삼성에피스홀딩스는 미래 성장을 위한 바이오 플랫폼 개발에 집중할 계획”이라며 “홀딩스는 M&A, 벤처 투자 등을 통해 신사업 진출 노력도 활발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이번 분할이 소액투자자와 이해 상충 우려 있는지 외부 자문을 통해 검토한 결과 법적인 문제가 없는 것으로 검토됐다”며 “분할 반대를 위한 주식매수청구권은 신설 회사인 에피스홀딩스가 재상장 예정이라 인정되지 않는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