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06 16:56 (일)
美 관세·내수부진, 취업시장 성별 온도차…女 취업자 증가폭 男 5배
상태바
美 관세·내수부진, 취업시장 성별 온도차…女 취업자 증가폭 男 5배
  • 박두식 기자
  • 승인 2025.05.15 14: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4월 취업자 수 증가 19.4만명 중 남자 3.3만명
건설·제조업 주춤 탓…경활률도 남자만 감소
▲ 서울 마포구 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 일자리 정보 게시판에서 구직자들이 이력서를 작성하고 있다. /뉴시스
▲ 서울 마포구 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 일자리 정보 게시판에서 구직자들이 이력서를 작성하고 있다. /뉴시스

올해 들어 4개월 연속 취업자 수 증가가 이어지고 있지만 대내외 불확실성과 내수부진으로 인한 건설·제조업 등 일부 업종과 청년층 등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한 고용한파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업종 특성 탓에 남성 고용률이 1년 넘게 줄어들고 있는 가운데 여성 취업자와 고용률은 늘어나는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통계청 ‘2025년 4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2888만7000명)는 1년 전보다 19만4000명 증가하며 4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늘어난 취업자 수 19만4000명 중 여성이 16만1000명에 달했지만 남성은 3만3000명에 불과했다.

남성 고용률은 70.9%로 1년 전보다 0.2%포인트(p) 줄었다. 지난해 3월 마이너스 전환한 남성 고용률은 13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반면 여성 고용률은 55.6%로 관련 통계 작성한 1999년 이래로 역대 최고 수준이다.

연간 여성 고용률은 2000년 47.0%에 불과했지만 2015년 처음으로 50%를 넘었고 지속 증가해 지난해에는 54.7%로 늘었다.

반면 남성 고용률은 꾸준히 70%를 넘었으나 코로나 사태 당시인 2020년 60%대로 내려앉았다가 이듬해 바로 70%를 회복했다. 하지만 지난해 12월 계엄 사태에 따른 내수 충격의 영향으로 69.8%로 떨어진 후 3개월 연속 70%대를 회복하지 못했다.

이에 대해 한국개발연구원(KDI)은 경제전망을 통해 “건설업과 제조업을 중심으로 고용 여건이 둔화되는 모습”이라며 “1분기 성별로는 여성(14만3000명→18만6000명)이 높은 증가세를 이어간 반면 건설업과 제조업 종사자 비중이 높은 남성(-9만1000명→-3만2000명)은 감소세가 지속됐다”고 지적했다.

부동산 경기 침체와 내수 부진으로 인한 일부 업종 타격이 남자 취업자 감소를 유발했다는 의미다. 4월 기준 실업자를 살펴봐도 남자는 50만7000명으로 1년 전과 같았지만 여자는 34만7000명으로 같은기간 3만1000명(-8.2%) 줄었다.

4월 경제활동참가율(65.1%)도 4월 기준 통계작성(1999년 6월~) 이래 역대 1위 수준을 기록했지만 남자 경활률은 0.2%포인트(p) 하락했다. 여자 경활률이 0.3%p 상승한 것이 전체 경활률 상승을 이끈 것이다.

문제는 미국 관세정책 등 대외 불확실성에 따라 주요 업종의 고용 한파가 앞으로도 지속될 수 있다는 점이다. KDI는 올해 취업자 수 증가폭을 기존 10만명에서 9만명으로 낮춰 잡았고, 내년에도 7만명 증가에 그칠 것으로 봤다. 지난해 16만명 증가한 것에 비하면 크게 낮은 수준이다.

정부는 처음으로 ‘관세피해 고용충격’ 가능성을 언급하며 선제 대응에 나서겠다는 방침을 내놨다. 기획재정부는 관세피해 수출기업 지원 및 고용충격 선제대응 관련 추가경정예산을 신속 집행해 나갈 계획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