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계약직으로 일하는데 직장 내 괴롭힘으로 지병이 악화돼 병가를 썼더니 관리자가 '너는 필요없다'는 말과 함께 근무 시간을 생활이 불가능할 정도로 줄이며 퇴사를 종용했습니다"
#2. "상사가 과도한 업무를 부여하는 것은 물론이고 사적으로 특정 정치색을 강요합니다. 모욕성 발언도 계속 이어지는데 언제까지 이렇게 살아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너무 무섭고 힘듭니다"
고(故) 오요안나 기상캐스터가 직장 내 괴롭힘을 겪은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직장인 3명 중 1명이 지난 1년간 직장 내 괴롭힘을 겪은 것으로 드러났다.
직장갑질119가 여론조사 기관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2024년 12월2~11일까지 전국 만 19세 이상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직장 내 괴롭힘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직장인 35.9%는 지난 1년간 해당 경험을 겪었다고 답했다.
유형별로 보면 괴롭힘은 ▲ 모욕·명예훼손(23.5%) ▲ 부당지시(19.6%) ▲ 폭행·폭언(19.1%)으로 행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를 입은 대상자들 중 비정규직(41.3%)이 정규직(32.3%)보다 더 많은 괴롭힘을 겪었고, 비사무직(39.4%)이 사무직(32.4%)보다 더 많이 경험한 것으로 집계됐다.
아울러 괴롭힘을 겪은 이들 359명에게 '극단적 선택 등을 고민한 적이 있는지'에 대해선 22.8%가 '있다'고 답했다. 이는 전년 대비 7.1%p 증가한 수치다.
이들 중 절반 이상(51.3%)이 괴롭힘을 겪어도 '참거나 모른 척'했고, 4명 중 1명 꼴(23.7%)로 회사를 떠나기도 했다.
반면 회사 또는 노동조합에 신고했다는 응답은 12.8%에 불과했다. 고용노동부 등 관련 기관에 신고했다는 응답은 5%에 그쳤다.
직장갑질119 김유경 노무사는 "지난 1년간 직장 내 괴롭힘 경험률이 지속적으로 상승했다"며 "직장 내 괴롭힘은 인권 침해이자 안전하게 일할 권리 박탈의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법이 실효성있게 작동할 수 있는 방향 모색과 더불어 일터 민주주의 회복 관점에서 종합적인 논의가 필요하다는 것을 재확인시켜준 결과"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