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06 16:56 (일)
민간 항공전문가 20여 명 'LCC 안전 관리' 머리 맞댄다
상태바
민간 항공전문가 20여 명 'LCC 안전 관리' 머리 맞댄다
  • 박두식 기자
  • 승인 2025.02.04 10: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토부 '항공안전 혁신위원회' 첫 회의 4일 개최
항공안전체계 방안 논의···민간 전문가 20여 명 참여
3월 항공안전 분야 제도개선 방안 마련···4월 공청회
▲ 지난해 12월 30일 전남 무안국제공항 활주로에 전날 발생한 제주항공 참사 여객기의 잔해와 동체 착륙의 흔적이 남아 있다. /뉴시스
▲ 지난해 12월 30일 전남 무안국제공항 활주로에 전날 발생한 제주항공 참사 여객기의 잔해와 동체 착륙의 흔적이 남아 있다. /뉴시스

정부가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와 1.28 에어부산 화재 등의 후속조치 등을 논의할 '항공안전 혁신위원회'를 개최한다

국토교통부는 민간항공기 사고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우리나라 항공안전체계 전반에 대한 개선 방안을 만들기 위해 항공안전혁신위원회 첫 기획회의를 4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위원회는 항공안전 혁신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국토부 자체 심의·자문 기구(비법정)로 구성된다.

우선 첫 회의에서는 위원회를 이끌 위원장을 선출하고 향후 위원회의 방향과 목표를 설정할 계획이다.

위원회는 이달부터 오는 4월까지 약 10주간 운영되며, 항공안전 및 공항 분야 등 민간 전문가 20여 명이 ‘항공운항 안전 분과’와 ‘공항시설 개선 분과’로 나눠 활동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위원회 운영 과정에 따라 관련 전문가를 위원회 위원으로 추가 임명할 계획이다.

위원회는 향후 저비용항공사(LCC)의 정비역량 제고 및 높은 항공기 가동률 관리, 공항 건설·운영 규정 간 불일치 해소 등 12.29 여객기 참사 수습 과정에서 주로 지적된 사항 등을 비롯해 항공사의 운항 인허가 시 안전성 검토 강화, 항공안전투자 공시제도 내실화, 공항 건설·운영규정 개정, 공항운영증명 및 운영검사 내실화 등 항공 안전체계 쇄신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논의할 방침이다.

향후 위원회는 항공·공항 각 분야의 현장점검과 국내·외 사례분석 결과 등을 토대로 올 3월까지 항공안전 전 분야의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하고 오는 4월 초 공청회를 열어 항공안전 혁신 대책을 최종 확정할 계획이다.

백원국 국토부 제2차관은 "각종 항공기 사고 발생에 따라 항공안전 관련 제도개선은 현재 정부가 최우선적으로 다루어야 할 과제”라며 “우리나라 항공안전 시스템의 신뢰 회복을 위해 정부는 항공안전 체계를 처음부터 다시 세운다는 결심으로 뼈를 깎는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백 차관은 이어 "향후 10주간 내실 있는 결과가 나올 수 있도록 위원회가 최선을 다해줄 것을 당부한다"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