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수처 "공수처 수사는 계획대로"
공수처 "현재 참고인 조사에 주력"

채모 상병 사망 사건 수사 외압 의혹을 수사하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정치권에서 논의되는 '채상병 국정조사'와 별개로 수사를 계획대로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공수처 관계자는 3일 기자들과 만나 채상병 국정조사와 관련해 "국회는 국회의 시간표대로 가는 것이고 공수처는 공수처의 수사 계획대로 진행할 것이라고 생각해달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채상병 사건 수사 진행 상황에 대해 "일반적인 수사 절차대로 진행되고 있고 소환 계획이 있는 대상자를 선별하고 있다"며 "참고인 조사가 계속될 것"이라고 전했다.
핵심 피의자 조사에 대해서는 "현재는 참고인 조사에 주력하고 있으며, 이후 조사는 조사 결과나 내용을 토대로 검토해야 할 문제"라며 말을 아꼈다.
공수처는 지난달 20일부터 채상병 사건과 관련한 참고인 조사를 약 6개월 만에 재개했으며 국방부 핵심 참모들도 조사 대상이라고 밝힌 바 있다.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의 휴대전화 포렌식은 아직 진행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 관계자는 "경찰에서 (휴대폰이) 아직 넘어오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공수처는 또 향응 의혹이 제기된 경찰 고위 간부 고발 사건을 대검찰청에 이첩했다. 이 관계자는 "해당 고발 사건을 공수처법 24조3항에 따라 지난 2일 대검에 이첩했다"며 "다른 수사기관에서 수사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되면 이첩할 수 있다고 돼 있다"며 이첩 사유를 설명했다.
앞서 한 언론은 서울경찰청 소속 고위 간부 A씨가 지난달 말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의 단란주점에서 사업가 B씨로부터 한 병당 수십만원에 달하는 와인 등 향응을 받았다는 의혹으로 고발됐다고 보도했다.
청탁금지법에서 공직자는 직무 관련 여부와 관계없이 동일인에게 1회 100만원 또는 매 회계연도 300만원을 초과하는 금품을 받거나 요구 또는 약속해선 안 된다고 규정한다.
한편, 야권에서 윤석열 대통령 부부가 기존에 사용하던 휴대전화를 교체했다는 정황을 두고 공수처에 증거보전 신청을 요구한 것에 대해 관계자는 "지난주와 상황이 많이 바뀌지 않았다"며 "수사팀이 판단해서 결정할 사항"이라고 선을 그었다.
앞서 더불어민주당은 윤 대통령 부부가 기존의 개인 휴대전화 사용을 중단했다는 보도가 나오자, 공수처에 윤 대통령 부부의 휴대전화는 각종 의혹을 규명할 핵심 증거라며 증거보전을 신청하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