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은 수요 맞는 인재 받고

교육부는 고용노동부와 청년들의 직업능력 향상과 취업지원을 위한 협업을 강화하기 위해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현장 간담회를 개최한다고 27일 밝혔다.
경기도 성남시 동서울대학교 대학일자리+센터에서 진행되는 이날 MOU는 ▲ 직업계고 ▲ 전문대학 ▲ 지역산업 등 크게 3가지를 골자로 한다.
먼저 직업계고의 경우 교육의 산업 현장성을 높이고, 졸업생들의 취업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교육부에서 직업계고 학생에게 지원하는 취업연계 장려금과 고용부에서 지원하는 청년일자리 도약 장려금을 연결해 장기 근속을 유도할 예정이다. 정부는 "이를 통해 직업계고 청년들은 기업에서 원하는 교육·훈련을 받고 본인의 능력과 적성에 맞는 일자리로 취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전문대학의 경우 고등직업교육과 직업훈련 간 연계를 확대할 방침이다. 부처와 기관은 보유한 교육, 자격, 훈련 정보를 연계해 청년 취업 지원을 강화할 예정이다. 또 고용부에서 인정한 '케이(K)-디지털 기초역량' 훈련기관을 평생교육바우처 사용기관으로 지정해 평생교육과 직업 훈련의 연계를 강화할 방침이다.
마지막으로 지역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양성하여 지역의 일자리에 취업하는 생태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양 부처는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와 지역산업맞춤형 일자리 사업을 연계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지역 산업의 수요에 맞는 인재를 양성하겠다는 것이다. RISE 참여 기관 정보와 고용부의 고용보험 정보를 통해 지역대학의 인력공급과 지역 산업계 인력수요 사이의 간극도 해소하겠다는 계획이다.
협약식 이후 간담회에서 양 부처는 전문대학, 직업계고, 학생, 기업 관계자 등으로부터 부처 간 협업을 통한 청년 지원 강화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 현장의 건의사항 등을 수렴한다.
출처=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