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07 15:38 (월)
전주서 173억 전세사기…'피해자만 235명'
상태바
전주서 173억 전세사기…'피해자만 235명'
  • 김상기 기자
  • 승인 2024.10.30 15: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무자본 갭투자' 방식으로 빌라 19채 매입해
▲ 전북경찰청 반부패수사대 경찰들이 30일 전북 전주시 전북경찰청 브리핑룸에서 깡통 전세사기 피의자 검거 브리핑을 열고 압수한 증거품을 정리하고 있다. /뉴시스
▲ 전북경찰청 반부패수사대 경찰들이 30일 전북 전주시 전북경찰청 브리핑룸에서 깡통 전세사기 피의자 검거 브리핑을 열고 압수한 증거품을 정리하고 있다. /뉴시스

타인 명의로 빌라를 매입해 전세를 준 뒤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은 40대가 경찰에 붙잡혔다.

전북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는 사기, 부동산실명법 위반 등 혐의로 A(40대)씨를 구속했다고 30일 밝혔다.

A씨는 지난 2020년 7월부터 지난 6월까지 타인 명의로 빌라 19채를 매입해 전세계약을 체결한 뒤 세입자들에게 전세보증금을 돌려주지 않은 혐의를 받고 있다.

경찰에 따르면 A씨는 전세사기를 목적으로 자신의 모친 등 타인의 명의를 이용해 전주시의 구축 빌라를 매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빌라 매입 직후 바로 세입자를 찾아 전세계약을 체결한 뒤 그 전세보증금으로 다시 빌라를 매입하는 방식의 갭(Gap)투자를 통해 19채의 빌라를 사들였다.

이렇게 자기자본 없이 무자본 갭투자로 생긴 '깡통 전세' 빌라에 들어간 세입자들은 결국 전세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했다.

A씨에게 피해를 본 세입자만 235명으로, 피해 금액은 약 173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찰은 5개월간의 수사 끝에 A씨를 붙잡았으며, 그가 벌어들인 범죄 수익금을 환수하기 위해 수익금과 부동산에 대한 추징보전을 신청할 계획이다.

경찰 관계자는 "전세사기 피해를 막기 위해선 계약 내용과 등기부등본 등을 세심하게 확인해야 한다"며 "앞으로도 경찰은 서민들을 울리는 전세사기 범죄가 근절될 수 있도록 철저히 수사하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