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8-21 16:46 (목)
서울시, 소아 확진자 ‘외래진료센터’ 선제적 운영
상태바
서울시, 소아 확진자 ‘외래진료센터’ 선제적 운영
  • 류효나 기자
  • 승인 2022.03.06 10: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소아 우선배정 150병상 확보 가동 중…비대면 진료 소아전담의료상담센터 2곳 운영
▲ 서울시청 청사
▲ 서울시청 청사

서울시는 최근 10대 미만의 소아 재택환자가 증가함에 따라 비대면 진료뿐 아니라 외래진료도 원활히 받을 수 있도록 ‘외래진료센터’ 5개소를 선제적으로 운영하고, 2개소를 추가 확보하는 등 지속 확충하고 있다. 

시는 현재 소아 확진자의 대면진료를 위한 외래진료센터 5개소를 운영 중이다. 동대문구 서울성심병원, 중랑구 서울의료원 및 녹색병원, 서초구 기쁨병원과 연세곰돌이소아청소년과의원에서 운영한다. 

소아 확진자를 위한 병상과 응급이송체계도 가동 중이다. 시는 소아환자 치료를 위한 우선배정 병상 150개를 확보했다. 서울대학병원을 비롯해 15개 병원이 참여하고 있다. 응급상황에 따라 중증도별(중증・준중증・중등증)과 연령별(7세미만 103병상, 7~12세 43병상, 12세 이하 4개)로 확보된 수용 가능한 병상에 신속히 배정한다.

또한, 서울시는 응급환자 발생에 유기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자치구 보건소와 의료기관, 119 등과 응급핫라인을 구축하여 이송과 배정이 신속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소아 확진자는 재택치료 중 비대면 진료는 평소 다니던 동네 병·의원에서 받을 수 있다. 확진 시부터 이를 안내해, 필요할 때 당황하지 않고 전화상담·처방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현재 서울지역 소아청소년과 286개 병·의원이 비대면 진료에 참여하고 있다.

또한, 시는 ‘소아 전담 의료상담센터’ 2개소를 운영해 소아 확진자 대상 전화상담․처방도 시행 중이다. 광역지자체 단위에서 소아 전담 의료상담센터 운영을 시작해 적극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박유미 서울시 시민건강국장은 “소아 확진자에 대한 외래진료센터, 24시간 의료상담센터 운영, 맞춤형 특수병상확보로 비대면·대면 진료체계를 모두 강화하고 있다. 응급상황에 대비한 비상연락망 및 이송체계도 갖췄다”며 “서울시는 더 나아가 소아 전담 의료지원 체계를 보강하기 위해 추가 시설을 검토하고 있다. 소아 환자들이 더욱 안심하고 치료받을 수 있도록 대면진료 체계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