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래통합당의 비례대표 자매정당인 미래한국당이 ‘마이웨이 공천’ 논란을 둘러싼 갈등을 수습하며 모(母)정당인 통합당과 간극 좁히기에 나섰다.
통합당과 황교안 대표 뿐만 아니라 미래한국당 내 대다수 최고위원들도 비례대표 후보 공천명단에 강력 반발하며 재의를 요청하자, 미래한국당 공천관리위원회는 18일 심야 회의에서 비례대표 후보 순번을 수정하기로 결정했다.
미래한국당 공관위는 당 지도부 의견과 통합당 등 외부 반발을 고려해 나름 절충안을 내놓은 것이지만, 통합당 쪽에서는 비례대표 공천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고 할 만큼 강경 기류가 여전하다.
4명에 불과한 조정 폭만으로는 공천 갈등이 말끔히 해소되기에는 역부족인데다, 선거인단 찬반투표에서도 수정명단이 부결될 가능성이 높아 갈등이 더 첨예해질 수 있다.
황교안 대표가 수정안에 대해 문제 삼을 경우 미래한국당 선거인단의 투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통합당이 미래한국당 대신 다른 비례정당을 세우거나, 한선교 대표 교체 및 지도부 전원 사퇴 후 재구성, 통합당의 비례대표 후보 자체 공천 방안 등이 정치권에서 유력하게 거론된다. 다만 현실적으로 선택지는 마땅치 않다.
통합당의 자체적인 비례대표 후보 공천은 절차상 불가능한 건 아니지만 지역구 의석 점유율이 높을 경우 상대적으로 비례대표 의석수는 줄어들게 된 만큼 의석 점유율 측면에서 실리적으로 유리하지 않다.
미래한국당 대신 제2의 비례대표 정당을 창당하는 방안은 가능성은 낮지만 무시할 순 없다.
이미 통합당은 당 사무처 노조위원장 명의로 ‘자유한국당’이라는 당명의 창당준비위를 선거관리위원회에 등록해 둔 상태다.
한 달도 안 남은 선거일까지 창당 준비와 인선 작업을 일사천리로 마쳐야하는 게 관건이다.
통합당이 요구하는 비례대표 후보 전면 재조정 요구가 끝내 수용되지 않을 경우, 한선교 대표가 공천 파동에 따른 논란을 잠재우기 위해 정치적 책임을 지고 물러날 가능성도 있다.
미래한국당은 이번 총선에 한시적으로 최고위원회가 공천 방식을 직권으로 결정하는 막강한 권한을 가진 만큼 새 지도부가 공천 명단을 새로 짜는 수순으로 갈 수도 있다.
최고위원회는 공천관리위원장 및 위원 임명에 대한 의결권 뿐만 아니라 공천관리위원장·위원 겸임도 가능한 만큼 일정이 촉박하면 통합당과 조율을 거쳐 현 지도부가 공천 판을 다시 짤 가능성도 없지 않다.
통합당은 지역구·비례대표 의석 점유율을 최대한 끌어올린다는 목표 하에 준연동형 비례대표제의 허점을 파고든 전략으로 전례 없는 위성정당(자매정당)을 창당했지만, 정치권에서는 결국 꼼수를 부리다 제 덫에 걸려든 셈 아니냐는 비판이 나온다.
황 대표는 19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자당의 위성정당인 미래한국당과 관련해 “이번 선거의 의미와 중요성을 생각할 때 대충 넘어갈 수 없다. 단호한 결단이 필요하다”며 “빠른 시일 내에 문제를 바로잡아서 승리의 길로 다시 되돌아 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미래한국당은 괴물 선거법에 맞서서 의회민주주의를 수호하고 혁신과 통합의 가치를 담는 희망의 그릇이었다. 그러나 국민의 열망과 기대와는 거리가 먼 결과를 보이면서 국민께 큰 실망과 염려를 안겨드리게 되었다”며 “안타깝고, 국민들께 송구한 마음이다”라고 사과했다.
반면 한 대표는 18일 밤 당사를 떠나면서 기자들로부터 황교안 대표와 공천 수정안을 협의했느냐는 질문에 “당이 다르다”고 언급하며 모(母)당인 통합당과 선을 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