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래통합당이 16일 황교안 당 대표를 상임위원장으로 하는 선거대책위원회를 운영하기로 결정했다.
앞서 위원장에 유력 거론됐던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은 위원장직을 최종 고사했다.
황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통합당은 오늘부터 선거대책위원회 체제로 운영될 것”이라며 “제가 직접 선대위의 총괄 선대위원장으로서 깃발을 들겠다”고 말했다.
황 대표는 “이번에 선대위를 구성하게 된다. 이번 선대위는 경제 살리기, 나라 살리기 선대위”라며 “앞으로 중앙당과 시도당은 선거 때까지 비상운영체제로 운영된다. 모든 당직자들은 비상한 각오로 임해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그는 “문재인 정권 심판을 위해서 국민과 역사 앞에 책임진다는 엄중한 자세로 대응해 주시길 바란다”며 “저 역시 혼신의 힘을 다해서 앞장서 뛰겠다. 통합당이 실정과 무능으로 국민 고통만 가중시키는 문재인 정권을 반드시 심판해서 경제 위기를 극복하고 나라 살리겠다. 힘을 모아주시라”고 호소했다.
황 대표는 “우리 당 역사상 공천관리위원회 역할이 어느 때보다 막중하다. 그래서 공관위에 당부 드린다. 지역 여론,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 가치를 더 높이 헤아려주길 바란다. 또 이기는 공천의 길도 살펴주길 바란다”고 요청했다.
이와 함께 김 전 위원장은 최명길 전 의원의 페이스북을 통해 위원장직을 맡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최 전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미래통합당 선대위원장 관련 김종인 전 대표의 입장문”이라며 “이번 총선에서 미래통합당의 선대위원장으로 활동할 의사가 없음을 밝힌다. 통합당 황교안 대표께도 어제 더 이상의 논의를 끝내자고 이야기했다”고 올렸다.
이어 “다 됐던 일처럼 보이던 것이 흐트러진 데 대해 많은 분이 궁금해하실 것 같아서 한 마디 덧붙이겠다”며 “통합당 내부 사정이 복잡해지면서 황교안 대표가 여러 명의 선대위원장이 나서는 공동선대위 체제를 다시 이야기했고 저는 ‘그렇다면 굳이 나를 영입하려는 이유가 뭔지를 알 수가 없다. 여러분들이 합심해 잘하길 바란다’는 입장을 밝혔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저는 지난 정부와 현정부의 등장에 일익을 맡았다는 점 때문에 국민께 미안한 마음이 있다고 말씀드린 적이 있다”며 “그래서 이번 총선에선 분출되는 국민의 마음이 선거에 잘 반영돼 이 나라의 민주주의가 회복되고 코로나 사태로 더 어려워진 경제가 살아날 수 있도록 마지막 노력을 다해보려 했던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하지만 통합당의 당내 사정이 도와줄 여건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며 “기대하셨던 분들에게 다시 한 번 송구한 마음”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