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일각에서 오는 4·15 총선을 앞두고 비례대표 의석 확보를 위한 위성정당, 세칭 ‘비례민주당’ 창당 주장이 점점 고개를 들고 있다.
보수 비례대표 위성정당인 ‘미래한국당’의 기세가 만만치 않고 코로나19 확산 등 정부·여당에 대형 악재까지 겹치면서 이대로는 원내 제1당을 사수할 수 없다는 위기감이 커진 데 따른 것이다.
민주당 지도부는 여론과 범여권 군소정당들을 의식해 위성정당에 대해선 여전히 거리를 두고 있으나 친여 성향 외곽 단체들의 ‘자발적’ 창당에 대해선 관망하는 입장이어서 비례민주당의 향배를 놓고 귀추가 주목된다.
이인영 원내대표는 전날 오찬간담회에서 비례민주당 창당에 대해 “기본적으로 우리가 할 수 없다”며 “누차 얘기하지만 작년부터 선거법 취지를 훼손하는 행동은 하지 않겠다고 했다. 기본 입장은 변함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이처럼 민주당 지도부는 비례민주당 논의와 거리를 두고 있으나 전반적인 여권 내 불안감은 심상치 않다.
미래통합당 출범으로 보수 소통합이 일단은 완료된 데다가, 위성정당인 미래한국당도 개정 선거법 하에서 약진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민주당은 범여권 군소정당들과 선거법 등 패스트트랙 공조를 추진하며 미래한국당을 신랄하게 성토해온 입장에서 이제와서 비례민주당으로 급선회하긴 쉽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더욱이 이미 비례대표 후보 공모를 받아 공천에 착수한 점도 위성정당 추진과 배치되는 대목이다.
결국 친여 성향 외곽세력을 통한 ‘자발적인’ 비례대표 정당 추진을 묵인하는 형태로 사실상 비례민주당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그러나 범여권 군소정당들은 사실상 비례민주당 격인 외곽 정당에 대해 날 선 반응을 보이고 있어 실제 성사될지 여부는 미지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