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경환 대안신당 대표는 10일 자당과 바른미래당·민주평화당 간 3당 통합 추진과 관련해 “우리 제3지대 통합을 위해 뭉친 각 정당이 돈이 필요해서 통합을 서두르고 있지는 않다”고 말했다.
최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최고위원·국회의원 연석회의에서 이같이 말하며 “마치 돈이 필요해 원내교섭단체를 서둘러 만드는 것처럼 해석하지 말아주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가 이르면 오는 12일 통합을 주장하는 등 3당의 세칭 ‘호남 소통합’ 추진 속도를 높이자 일각에선 선관위가 정당에 국고보조금(경상보조금)을 지급하는 15일 전 원내교섭단체 지위를 회복해야 86억원 가량의 국고보조금을 받기 때문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최 대표는 그러면서 “이제 통합의 가치와 실체를 국민께 한 단계 업그레이드 해 보여드려야 할 때”라며 통합의 선결 조건을 제시하기도 했다.
그는 “첫째, 모든 기득권을 내려놓아야 한다. 둘째, 개혁정체성을 분명히 해야 한다. 셋째, 국민적 동의를 얻을 수 있는 통합절차가 이뤄져야 한다”며 “이것이 원칙”이라고 밝혔다.
이어 “3당의 통합추진위원회 구성을 완료하고 3당 통합 추진 기구에서 당명을 결정하고 지도부 구성을 합의하고 3당 합당 수임 기구 결의를 통해서 합당을 완료해야 한다”고 말하며 ‘절차에 따른 통합’을 거듭 강조했다.
장정숙 원내대표도 “단순한 세 불리기나 정치자금 확보 차원에서 3지대 통합의 문제를 보지 않는다는 점을 분명히 밝혀 둔다”며 “정치의 변화와 개혁이 대전제이다. 총선이 목전에 다가온 시급한 상황이지만 이 문제에 적당히 타협하지 않겠다”고 거들었다.
3선의 장병완 의원은 “분열에 책임이 있는 당사자들의 반성과 성찰이 선행되어야 한다”며 “호남인들이 선택해 준 국민의당을 분열시켜 호남의 정치력과 가치를 떨어뜨린데 책임이 있는 당사자들의 사죄가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간 각 정당에서 주요 책임을 맡았던 분들, 정치를 오래 해온 중진들은 현재의 분열된 상황에 대한 책임이 없다할 수 없다”며 “반성과 책임질 당사자들이 또 다시 기득권을 주장하며 앞에 서는 것은, 통합정신에 맞지 않는다”며 거듭 중진들의 2선 후퇴를 주장했다.
앞서 6선 천정배 의원도 페이스북을 통해 “새로운 통합정당을 만들려면 국민의당의 분열과 기득권 회귀에 책임 있는 사람들이 국민에 대해 분명한 사죄와 함께 합당한 책임을 지는 자세를 보여야 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이는 안철수 전 의원이 주도한 국민의당·바른정당 통합 강행 당시 탈당을 거부하고 통합에 동참한 바른미래당 박주선, 김동철, 주승용 의원 등 호남계 중진들을 정조준한 것으로서 향후 3당 통합을 둘러싼 치열한 샅바 싸움이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