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일 한국은행의 ‘11월중 금융시장 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말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648조원으로 전월대비 4조9000억원 증가했다.
서울을 중심으로 한 집값 상승세, 앞으로 더 오를 것이라는 기대감, 낮아진 금리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주택담보대출 증가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시 부동산 정보광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지난 8월 7000호, 9월 7000호, 10월 1만호로 확대되고 있다.
지난달 한은의 소비자동향지수(CSI)에 따르면 1년 뒤 집값 전망을 나타내는 주택가격전망 CSI가 지난해 9월(128) 이후 1년여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인 120을 기록했다.
전세 거래량 증가로 전세자금 대출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됐다.
올 11월까지 누적된 주택담보대출 증가 규모는 40조1000억원을 나타내며 지난 2017년(37조2000억원)과 2018년(37조8000억원) 연중 증가폭을 모두 앞질렀다.
마이너스 통장과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은 2조1000억원 늘어나는 데 그쳐 전월(2조5000억원)보다 증가세가 주춤해진 모습을 보였다. 추석 연휴에 썼던 카드값 등 소비자금 결제 수요가 10월 일시적으로 몰렸다가 지난달 다소 축소된 영향이라 한은은 설명했다.
주택담보대출과 기타대출을 합한 전체 은행 가계대출은 한 달 전보다 7조원 늘어난 881조1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주택담보대출이 큰 폭 불어난 영향으로 전월 수준(7조2000억원)과 마찬가지로 7조원대의 높은 증가세를 이어갔다.
만약 이달에도 비슷한 증가 흐름이 이어질 경우 올해 가계대출 증가 규모는 지난해 수준(60조8000억원)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기업대출은 5조9000억원 늘어 전월(7조5000억원)보다 증가폭이 축소됐다. 잔액은 875조2000억원이었다. 다만 중소기업 대출은 전월보다 5조1000억원 늘어 큰 폭의 증가세를 지속했다.
내년부터 새롭게 적용되는 예대율 규제로 은행들이 적극적으로 대출을 취급한 영향이다.
대기업 대출은 8000억원 증가에 그쳤다. ‘자영업자 대출’인 개인사업자대출은 337조7000억원으로 2조6000억원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