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은 25일 “향후 홍콩 시위와 관련한 상황이 악화하더라도 우리 금융시장과 금융 시스템에 미칠 직접적인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평가했다.
김 차관은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확대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우리나라와 홍콩의 직접적인 금융 연계성은 높지 않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국내 금융회사의 대출, 지급보증, 외화차입금 등 홍콩에 대한 익스포져(exposure)가 전체의 2~3% 수준으로 크지 않은 데다 홍콩계 투자자의 국내 주식·채권 보유액도 전체 외국인 보유액의 2% 수준이라는 점을 이 같은 판단의 근거로 들었다.
다만 그는 홍콩 사태를 미·중 무역 갈등과 함께 우리 경제의 ‘꼬리 위험’(tail risk)로 꼽았다.
꼬리 위험이란 발생 가능성이 작고 예측이 어렵지만, 한 번 발생하면 시장에 엄청난 영향을 줄 수 있는 리스크를 칭한다.
김 차관은 “일각에서 우려했던 국제 금융시장에서의 혼란도 발생하지 않았지만, 시장에서 홍콩이 차지하는 위상 등을 고려해 경계감을 늦추지 않고 예의주시하겠다”며 “미·중 협상 및 홍콩 사태의 전개 상황이 급격히 악화되는 등 단기적으로 리스크가 중첩·증대될 때를 대비해 관계 기관과 국내외 금융 시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겠다”고 밝혔다.
미·중 간 1차 무역 협상의 최종 합의가 지연되고 있는 가운데 홍콩 사태를 둘러싼 양국 간의 정치적 긴장 관계가 또 다른 불확실성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다.
김 차관은 “(상황 전개에 따라) 글로벌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재차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면서도 “우리 경제의 견고한 대외건전성이나 그간 미·중 갈등이 고조되고 완화되는 국면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우리 금융시장이 보여준 복원력을 고려하면 과도한 불안 심리를 가질 필요는 없다”고 봤다.
그는 최근 수치 기준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순대외채권(9월 말 기준 4798억달러)과 외환보유액(10월 말 기준 4063억달러), 2008년 이후 27~28bp(1bp=0.01%포인트)의 최저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 등을 인용하며 우리 경제에 대한 해외 투자자들의 신뢰가 견고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김 차관은 “상황별 금융 시장 안정 수단을 꼼꼼히 재점검하고 변동성이 확대될 경우 신속하고 과감하게 대응할 것”이라며 “외환시장에 대해서도 경각심을 갖고 예의주시하면서 투기 등에 따른 과도한 변동성이 발생하면 적기에 시장안정조치를 실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실물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김 차관은 “홍콩과의 교역·투자 차질 가능성과 현지 우리 기업과 금융기관에 대한 지원 등에도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기재부 중심으로 관계부처는 물론 현지 공관과 비상 대응 체계를 구축해 둔 상태로 관련 동향을 매일 실시간으로 점검해 오고 있다”며 “수출입 기업과 현지 업체의 애로사항이 발생할 경우 대체 거래선 발굴, 금융 지원 등 정부 차원에서의 지원 조치를 신속히 취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