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부가 2020년 전국 150개 혁신교육지구 중 우수 혁신지구를 선정해 교육자치 거버넌스를 한 단계 심화하는 신규 사업을 실시한다.
교육부는 지난 1일 30억원 규모의 ‘미래형 교육자치 협력지구 사업’ 공모를 공고하고 각 시도교육청에 안내했다고 3일 밝혔다.
이 사업은 지역 특성을 반영한 교육협력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있는 혁신교육지구 중에서도 우수지역을 선정해 심화모델로 개발하는 것이 골자다.
6~10개 지역을 선정해 한 지역당 최대 5억원을 지원할 방침이다.
우선 1년간 사업을 실시한 후 성과에 따라 2021년에 특별교부금 사업으로 연계하기로 했다.
이 사업은 기초지방자치단체와 시도교육청(교육지원청)이 혁신교육지구로 공식 협약을 맺은 시군구만 신청할 수 있다.
현재 대구·경북·제주를 제외한 14개 시·도에서 총 150개 혁신교육지구가 운영되고 있다.
혁신교육지구는 2011년 김상곤 전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경기도교육감을 맡던 시절 6개 지구를 운영하기 시작해 2013년 전남, 2015년 서울·인천·강원·전북, 2017년 충북·충남으로 확대됐다.
이 사업에 참여하는 혁신교육지구는 마을·지자체와 학교·교육청 간 허브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공동협력센터를 설치·운영해야 한다. 읍면동 주민자치회 산하에도 중간조직 역할을 할 마을교육자치분과를 설치한다.
내용을 살펴보면 시범지구 내 자율학교를 지정해 이를 운영할 교장을 초빙하고 교사가 오래 근무할 수 있도록 인사혁신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지역 특성이 담긴 마을연계 교육과정 운영 등 학교혁신도 추진한다. 특히 ▲고교학점제 ▲방과후돌봄 ▲평생학습도시 ▲직업교육 ▲체육예술교육 ▲소프트웨어(SW) 센터 등 교육부 사업과 적극 연계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 밖에도 학교시설 복합화와 마을 돌봄, 농어촌지원 등 타부처 관련 사업과도 연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