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8-21 16:46 (목)
北 김정은 “금강산 시설 南과 협의 싹 들어내라”
상태바
北 김정은 “금강산 시설 南과 협의 싹 들어내라”
  • 이교엽 기자
  • 승인 2019.10.23 15: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장금철 통일전선부장 수행한 현지지도에서 지시
▲ 금강산관광지구 원형극장 앞을 지나는 김정은 위원장.	/뉴시스
▲ 금강산관광지구 원형극장 앞을 지나는 김정은 위원장. /뉴시스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속에서 ‘자력갱생’으로 경제발전을 꾀하고 있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남북 협력사업의 상징인 금강산관광에서 남측을 배제하겠다고 밝혔다. 

정부가 4·27 판문점선언과 9월 평양선언에 명시된 남북 협력사업을 대북제재의 틀 속에서만 추진하겠다는 방침을 유지하자 이에 대한 불만을 행동으로 표출한 거라는 관측이다. 

나아가 이를 계기로 남북 협력사업의 구조적 변화를 본격 모색할 거라는 전망도 나온다.

23일 북한 조선중앙통신과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 보도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금강산관광지구 시찰에서 “관광지나 내어주고 앉아서 득을 보려고 했던 선임자들의 잘못된 정책”이라는 등의 작심 발언을 쏟아내며 ‘금강산관광지구 총개발 계획’을 만들라 지시했다.

김 위원장은 새로운 금강산관광사업에 남측을 배제하겠다는 방침도 분명히 했다. 

그는 “국력이 여릴(약할) 적에 남에게 의존하려 했던 선임자들의 의존정책이 매우 잘못되었다”라며 “보기만 해도 기분이 나빠지는 너절한 남측 시설들을 남측의 관계부문과 합의하여 싹 들어내도록 하고, 금강산의 자연경관에 어울리는 현대적인 봉사시설들을 우리 식으로 새로 건설하여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어 “금강산이 마치 북과 남의 공유물처럼, 북남관계의 상징, 축도처럼 되어있고, 북남관계가 발전하지 않으면 금강산관광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되어있는데 이것은 분명히 잘못된 일이고 잘못된 인식”이라고 경계했다.

이는 단순히 금강산관광사업만이 아닌 그동안 진행된 남북 경협 사업을 전면적으로 손보겠다는 의지를 내비친 것으로 풀이된다.

김 위원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조건이나 대가 없이 개성공단과 금강산관광을 재개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그로부터 10개월이 지났으나, 정부는 북미 간 비핵화 협상 진전에 따른 제재 완화 조치가 선행돼야 개성공단과 금강산관광 재재 문제를 논의할 수 있다는 방침을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불만을 가져왔던 김 위원장은 결국 금강산관광사업에서 남측 자산을 철거하고 그 자리에 독자적인 관광지구를 만들겠다는 구상을 내놓은 것이다.

김 위원장이 이러한 초강수를 둔 배경에는 신년사에서 직접 내뱉은 약속을 지키지 못할 경우 연말 총화에서 자신의 통치 권위에 흠집이 생길 수밖에 없다는 데 대한 부담감도 깔린 것으로 풀이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보면 신년사에서 금강산관광과 함께 언급했던 개성공단도 안심할 수 없다는 관측이다. 

김 위원장이 이번 금강산관광지구 남측 자산 철거 지시가 북남관계와 연계되는 현실에 대한 불만을 표출한 점, 나아가 자력갱생의 연장선에서 남측의 도움도 받지 않겠다는 의사를 내비쳤다는 점 등에 비춰볼 때 개성공단에 대해서도 초강수를 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전망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