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은 올해 보유 주식자산 상승율이 가장 높은 상장사 대주주인 것으로 나타났다.
1일 재벌닷컴에 따르면 안 원장의 주식자산은 올해 초 718억원에서 지난달 30일 4289억원으로 497.4% 증가했다.
이는 상장사 주식부자 상위 500명의 보유주식 가치를 지난 달 30일과 연 초인 1월3일 종가 기준으로 평가한 결과다.
안 원장의 주식자산이 급격히 불어난 것은 안철수연구소의 주가가 급등했기 때문.
안 원장은 현재 안철수연구소의 지분 37.1%(372만주)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회사는 연 초 1만9300원에서 전날 11만5300원으로 6배 가량 주가가 올랐다.
이에 따라 안 원장의 기부액도 당초 보다 600억원 가량 늘어날 전망이다. 안 원장은 지난 달 14일 자신이 보유한 안철수연구소 지분의 절반(18.6%)를 사회에 환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또한 안철수연구소의 주가 급등으로 이 회사의 2대 주주인 원종호 씨(108만4994주 보유)의 주식 가치도 209억원에서 1251억원으로 대폭 커졌다.
유럽발 금융위기로 인한 폭락장 속에서도 주식 자산이 불어난 부자들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정의선 현대자동차 부회장은 주식자산이 올 초 2조1688억원에서 전날 3조1253억원으로 늘어 최고 증가액을 기록했다. 현대글로비스 등 보유 지분이 많은 계열사의 주가가 폭등한 데 따른 것이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8080억원(1조9587억원→2조7667억원),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는 5298억원(1조1191억원→1조6489억원), 조양래 한국타이어 회장은 3004억원(8083억원→1조187억원) 각각 주식자산이 불어났다.
절삭공구 수출업체인 와이지원의 대주주인 송호근 대표도 지난 1997년 상장한 후 14년만에 1000억원대 주식 부자에 올랐다. 지분 가치가 연 초 401억원에서 전날 1731억원으로 무려 331.8% 올랐다.
반면 주가 하락의 직격탄을 맞아 주식자산이 급감한 상장사 대주주도 속출했다.
현대중공업 최대주주인 정몽준 전 한나라당 대표는 연 초 3조5714억원이던 보유 주식가치가 전날 2조761억원으로 41.9%가 폭락했다. 1조4천953억원이 증발해 감소액 1위였다.
뒤이어 상장사 주식부자 1위인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도 9조2769억원에서 8조6133억원으로 6636억원이 사라졌고,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과 신동주 일본롯데 부사장, 구몬무 LG그룹 회장도 4000억원 이상이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구본준 LG전자 부회장과 정몽진 KCC그룹 회장, 이수영 OCI그룹 회장, 이정훈 서울반도체 회장, 윤석금 웅진그룹 회장 등은 지분 가치가 연초 대비 30% 이상 급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