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55~1963년 출생한 한국 베이비부머(베이비붐 세대) 4가구 중 3가구가 현재 보유자산으로는 노후생활이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1일 발표한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 이후 자산여력 진단' 보고서에 따르면 베이비부머 가구가 노후생활하는 데 필요한 최소 자금인 약 3억6000만원 이상을 보유한 비율은 24.3%에 그쳤다.
최소 자금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자산을 보유한 가구는 51.7%에 달했다.
최소 자금인 3억6000만원은 베이비부머 가구가 은퇴 후 생활을 위해 필요하다고 희망한 최소 수준의 생활비인 월평균 148만원을 토대로 추산한 액수다. 은퇴시점인 만 55세를 기준으로 기대수명 27.6년과 연금 등의 소득을 감안해 산출했다.
베이비부머 가구는 은퇴 후 적정 생활비 수준을 월평균 225만원으로 예상했다.
노후생활을 위한 적정 자금은 5억4000만원이며, 자녀 교육과 결혼에 대한 부담을 추가할 경우 6억7000만원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베이비부머 가구의 평균 총 자산은 3억4000만원으로, 이중 부동산 자산은 2억6000만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자산의 경우 대부분이 예·적금과 보험 등 안전형 상품에 편중돼 있어 수익성이 취약했고, 대출 보유율도 65% 이상으로 분석됐다.
황원경 KB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베이비부머 가구의 자산은 부동산과 금융 비율이 약 8대 2 수준으로 부동산에 편중돼 있어 은퇴 후 3~10년 내 금융자산 부족에 따른 유동성 위기를 맞게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금융권은 종합자산관리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한 뒤 베이비부머 가구의 보유자산과 부채구조를 진단해 적정 소비 및 자산관리 방안을 제언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