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06 16:56 (일)
태풍 '카눈' 진로·위력 어떻게될까?
상태바
태풍 '카눈' 진로·위력 어떻게될까?
  • 배민욱 기자
  • 승인 2012.07.18 09: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상청 "1985년 제9호 태풍 '리(LEE)'와 유사할 듯"

제7호 태풍 '카눈(KHANUN)'은 1985년 제9호 태풍 '리(LEE)'와 진로와 강도가 유사할 것으로 전망된다.

기상청에 따르면 카눈의 영향으로 18~19일 전국에 강한 바람과 많은 비가 쏟아질 것으로 보인다.

카눈은 전날까지 중심기압 992hPa, 최대풍속 22m/s였다. 약한 소형 태풍이다. 하지만 18일 오후에는 제주도와 남해안, 지리산부근, 19일 오전에는 서해안지방을 중심으로 많은 비가 집중되고 시간당 30㎜ 이상의 강한 비가 내릴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상된다.

태풍 '리'는 1985년 8월12일 일본 오키나와 남남동쪽 240㎞ 부근 해상에서 발생해 8월13~14일 서해상으로 북상했다.

이 태풍으로 위험반원에 위치한 제주도와 서해안지방에는 강한 바람이 불었다. 제주도, 남해안과 지리산 부근에 많은 비가 쏟아졌다. 이 기간 강수량은 여수 166.6㎜, 산청 157.4㎜, 제주 97.8㎜를 각각 기록했다.

지난 32년간(1981년~현재까지) 북위 20도 이상 고위도에서 발생한 태풍은 총 44개였다. 이 가운데 서해상으로 직접 북상해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 태풍은 '리'를 비롯해 1999년 제17호 태풍 '앤(ANN)', 2010년 제7호 태풍 '곤파스(KOMPASU)' 뿐이었다.

기상청은 또 카눈의 위력은 같은 기간 발생한 태풍 중 11~12위권일 것으로 분석했다. 중국 내륙을 거치지 않고 서해상으로 진입한 태풍은 총 12개로 나타났다.

1위는 1982년 8월12~15일까지 국내에 영향을 준 세실(CECIL)이었다. 중심기압은 914hPa로 기록됐다. 이어 ▲펑셴(FENGSHEN·2002년 7월26~27일·920hPa) ▲베라(VERA·1986년 8월27~29일·925hPa) ▲무이파(MUIFA·2011년 8월6~8일·930hPa) 등의 순이었다.

카눈과 진로와 위력이 비슷할 것으로 분석된 리(980hPa)는 10위를 기록했다.

기상청 관계자는 "카눈의 직접적인 영향으로 오늘 오후에는 제주도와 남해안 및 지리산부근, 내일 오전에는 서해안지방을 중심으로 많은 비가 집중되고 시간당 30㎜ 이상의 강한 비가 내릴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이어 "그동안 내린 비로 지반이 약해진 상황에서 또다시 많은 비가 예상된다"며 "산사태, 축대붕괴 등 피해 없도록 철저한 대비가 요구된다"고 당부했다.

한편 태풍은 연평균 25.6개가 발생한다. 이 가운데 2~3개 정도가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다. 올해는 현재까지 7개의 태풍이 발생해 평년(1~7월·7.6개)과 대체로 비슷한 발생빈도를 보이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