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8-21 16:46 (목)
현대차그룹‚ 자율주행‧전기차 개발 박차
상태바
현대차그룹‚ 자율주행‧전기차 개발 박차
  • 박경순 기자
  • 승인 2019.10.15 18: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25년까지 23종 전기차 출시
▲ 현대자동차 판매점.

현대자동차그룹이 오는 2021년 고속도로 자율주행이 가능한 레벨3 차량 출시와 함께 2024년에는 시내 도로주행이 가능한 레벨4 차량을 공급하고, 2025년까지 23종의 전기차를 출시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현대차그룹은 이와 같은 계획을 위해 2025년까지 41조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현대차그룹은 경기 화성시에 있는 현대‧기아차 기술연구소에서 미래 모빌리티 협업 생태계 전략의 일환으로 차량 데이터 오픈 플랫폼 개발자 포털 ‘현대 디벨로퍼스(Hyundai Developers)’ 출범을 발표하고, 미래 모빌리티 시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개방형 혁신을 한층 가속화한다고 15일 밝혔다.

 

국내 다수의 스타트업, 중소‧중견 기업들과 손을 잡고 다양한 형태의 미래 모빌리티‧미래 모빌리티 서비스가 보편화되도록 새로운 생태계 조성에 나선 것이다.

 

현대차그룹은 2021년부터 고속도로에서 달릴 수 있는 자율주행 레벨3 차량을 출시하고, 2024년에는 시내 도로에서도 주행할 수 있는 레벨4 차량을 운송사업자부터 단계적으로 공급할 예정이다.

 

미국 앱티브사와 국내에 연구소를 설립하고 세계 최고 수준의 자율주행차 기술 인력도 육성할 방침이다. 이미 상용화 하고 있는 스마트폰 제어, 음성인식, 인공지능(AI) 서비스 등 커넥티비티 기술도 고도화해 차량을 초 연결 시대의 중심으로 발전시킨다는 전략이다.

 

이와 함께 현대차그룹은 2025년까지 신차의 절반 수준인 23종의 전기차를 출시할 계획이며, 현재 전기차 전용 플랫폼도 개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내년부터는 스위스에 수소전기트럭 1600대를 순차적으로 수출하고 수소연료전지시스템을 선박, 열차, 발전 등 다양한 분야의 동력원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현대자동차는 이날 차량 오픈 데이터 시장의 초기 붐 조성을 위해 마중물 역할을 수행할 대표 협력 스타트업 4곳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현대차와 양해각서를 체결한 '팀와이퍼'는 위치정보, 원격제어를 통한 출장 세차 서비스를, ‘마카롱팩토리’는 차량 데이터 입력이 자동화된 차계부 서비스를, ‘오윈’은 위치 정보를 활용한 음식‧음료의 픽업 서비스를, ‘미스터픽’은 차량 데이터로 신뢰도 높은 중고차 평가‧거래를 지원하는 서비스 등을 제공할 계획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