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국 법무부 장관의 전격 사퇴로 두 달 넘게 이어졌던 ‘조국 정국’이 막을 내리게 됐다. 여권의 ‘조국 사퇴’ 카드는 예상보다 이른 시점에 나온 초강수로 정국에 미칠 파장도 상당할 전망이다.
‘포스트 조국’에서 정국 주도권을 잡기 위한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의 고심은 더 깊어지게 됐다.
‘반(反)조국’을 고리로 대여(對與)투쟁의 동력을 끌어올렸던 자유한국당은 투쟁 노선을 갈아타야 할 시점이지만, 급격한 변화 대신 원내 투쟁과 원외 투쟁, 정책 투쟁이라는 큰 틀의 전략을 유지하면서 투쟁의 방향이나 비중에 당분간 변화를 줄 것으로 관측된다.
‘조국 퇴진’을 연결고리로 범야권의 ‘반문(反文)연대’ 구축에 공을 들였던 한국당의 장외집회는 점차 횟수를 줄여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당초 이번 주말인 19일 광화문광장에서 당 차원의 대규모 집회를 가질 예정이었으나 조 장관 사퇴 소식이 전해지자 집회 재검토에 들어갔다.
한국당은 중앙당 후원회와 재정위원회를 가동하며 총선 대비 재원 마련에 힘을 쏟곤 있으나, 당 안팎에서는 황교안 대표 체제에서 잇단 장외집회로 ‘곳간’이 머지않아 바닥을 드러낼지 모른다는 말까지 들려온다.
후원인은 3000여명에 달할 만큼 늘었지만 교섭단체가 늘어나면서 국고보조금이 줄어들고 당비를 인하한 점도 당 살림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라는 것이다.
황 대표는 박맹우 사무총장, 추경호 전략기획부총장과 함께 광화문 서명운동본부 및 장외집회 향후 계획을 논의하는 비공개 회의를 갖고 장외 집회 개최 여부를 좀 더 시간을 갖고 판단하기로 했다.
대신 한국당은 총선을 앞두고 집권여당과의 차별화를 위해 정책 투쟁에 더 매진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