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와대가 조국 전(前) 법무부 장관의 후임자 인선 작업에 착수했다.
청와대는 후임 법무장관이 검찰 개혁을 완수하는 임무를 맡게 되는 만큼 개혁성을 갖춘 인물을 물색하고 있다. 또 검찰조직을 개혁의 방향으로 이끌고 나가면서 국회 입법 작업까지 마무리지으려면 강력한 추진력도 갖추고 있어야 한다는 점도 강조되고 있다.
또 조 장관이 인사 청문회 과정에서 깊은 상처를 입고 낙마한 만큼 검증을 수월하게 통과할 수 있는 도덕성도 중요한 고려 요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김오수 법무부 차관이 장관 직무대행 역할을 수행하고 있지만 청와대는 가급적 조기에 장관을 임명해 검찰 개혁의 동력을 살려나간다는 계획이다.
우선 조 전 장관 처럼 개혁성을 갖춘 학계·시민사회 출신 인사의 기용 가능성이 제기된다.
참여연대 공동대표 하태훈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와 한인섭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등이 거론되고 있다.
검찰 개혁의 추진력을 살려나가기 위해 중량감 있는 원내 인사를 기용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법조인 출신 중에서는 2017년 신고리 공론화위원장을 맡았던 김지형 전 대법관과 변호사 출신인 김외숙 청와대 인사수석 등의 기용 가능성도 거론된다.
일각에서는 행정 경험이 풍부하고 검찰 조직을 잘 이해하고 있는 검찰 출신 인사가 기용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빠르게 업무를 파악하고 개혁 과제를 추진하는데는 조직 내부 인사가 강점을 갖고 있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검찰과 연고관계가 있는 장관으로는 검찰 개혁이 어려울 수 있다는 게 청와대의 판단이다.
이 때문에 비(非)검찰 출신 인사들이 우선적으로 고려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다.
한 청와대 관계자는 “검찰 개혁의 적임자를 찾기 위해 폭넓은 인재풀을 활용하겠지만 검찰 출신은 아무래도 후순위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