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이동통신업계에 따르면 지난 4월 3일 세계 최초 5G 상용화에 성공한 통신사들은 초연결 시대를 열 5G망을 위한 기지국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달 기준 국내 5G 기지국은 9만대를 넘어섰다.
통신사들은 5G 커버리지를 연내 인구 대비 93%까지, 2022년에는 전국을 목표로 구축하고 있다.
5G 상용화 초기인 만큼 5G 커버리지, 속도 등에 대한 이용자들의 불만이 끊이질 않는 가운데 통신사들의 마음은 바쁘다.
그렇지만 5G 기지국을 구축하는 데 기술력, 장비, 인력 등 확보 문제 외에 전자파에 대한 국민들의 오해로 인한 난관도 만만치 않다고 토로하고 있다.
일부 지역민들이 두통 등 전자파로 인한 인체 유해성, 집값 하락 등을 이유로 자기네 주거지역 인근에 기지국 설치를 반대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실제로 기지국 전자파 인체에 위해할까. 이에 통신사는 물론 정부와 전문가들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무엇보다 기지국에서 인체에 위해한 수준의 전자파가 발생할 수 없도록 겹겹의 법적 장치를 마련해 시행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실제 전파법상 통신사가 기지국을 설치하려면 사전에 어떤 장비를 써서 어떤 형태로 기지국을 설치하겠다는 등의 세부 사항에 대해 전파관리소의 심의를 통과해야 한다.
설치될 개별 통신장비가 전자파 위해성을 통과한 것은 물론이다. 또한 기지국 설치가 완료되면 전자파 수치가 인체보호기준 이내임을 증명하는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의 전자파강도측정 검사에서도 합격점을 맞아야 한다.
이후에도 과기부 최종 승인까지 받아야 기지국은 가동될 수 있다.
하지만 정부의 전자파 안전성 홍보 노력에도 5G 기지국 구축이 본격화되면서 전자파 불안은 더욱 고조되는 형국이다.
5G는 4세대인 LTE 등보다 고주파 대역임에 따라 전자파가 더욱 많이 나온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5G는 이전 세대 통신망보다 기지국을 더욱 촘촘히 깔아야 하는 상황에서 통신사들의 고민은 더욱 깊어지고 있는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