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3지대 구축 모임인 ‘변화와 희망의 대안정치연대’(대안정치)가 당초 오는 29일 예정했던 발기인 대회를 연기했다.
22일 대안정치에 따르면 발기인 대회 연기 결정에는 다양한 요인이 작용했다. 아직 실체가 드러나지 않은 인재 영입 부분이나 최근 조국 사태로 인한 무당층 증가, 바른미래당 손학규 대표의 하태경 의원 징계로 인한 호남계와 보수계 간의 갈등 여파 등으로 창당 여건이 보다 좋아질 수 있다고 판단, 정국 추이를 지켜보자는 것이다.
바른미래당의 경우 손학규 대표가 바른정당 출신 하태경 의원에 대해 직무정지 6개월 징계를 내리자 유승민 전 대표와 지상욱 의원 등 바른정당 출신 인사들이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이러한 정황들이 바른미래당의 분열 조짐으로 비춰지다보니 대안정치는 보수계파가 떠난 바른미래당까지 제3지대로 끌어들여 보다 덩치를 키우는 시도를 꾀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 가운데 민주평화당 고문단 다수가 탈당계를 제출한 것도 마찬가지다. 정대철·권노갑 상임고문 등 11명은 지난 20일 오찬 회동을 통해 평화당 탈당을 결의했다. 이어 탈당계 제출까지 완료한 상황이다.
이들은 제3지대 구축이 실현될 때까지 평화당도 대안정치도 아닌 중립적인 위치에서 활동하겠다고 전했다. 다만 ‘외부 인재영입을 통해 새로운 제3지대를 구축하겠다’는 고문단의 목표가 대안정치의 목표와 유사함을 미루어 보면, 제3지대 신당 창당이 궤도에 오르면 이들이 공동 행보를 보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결과를 예측할 순 없지만 더불어민주당의 내부 상황도 대안정치가 창당 작업에 신중을 기하게 된 요인 중 하나로 꼽을 수 있다.
최근 조국 사태에 대해 민주당 내 회의적 입장을 내비친 인사들이 더러 있고, 내년 총선을 앞두고 공천 불이익을 받는 인사가 발생한다면 그들이 제3지대 신당에 합류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발기인 대회 일정은 연기됐으나 오는 11월 초 창당 목표는 변동이 없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