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8-21 16:46 (목)
지식산업센터 투자 수익률 보장 ‘주의’
상태바
지식산업센터 투자 수익률 보장 ‘주의’
  • 박경순 기자
  • 승인 2019.09.01 17: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급 과잉‧수익률 등 꼼꼼히 따져야
▲ '가산 한화 비즈메트로 2차' 광역도.<뉴시스>

정부의 강력한 규제로 부동산 시장이 침체되면서 새로운 수익형 부동산 투자 상품으로 지식산업센터가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공급 과잉과 부풀려진 투자 수익금, 허위‧과대 광고 등으로 피해를 입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지식산업센터는 제조업이나 지식산업‧정보통신(IT)사업 등 6개 이상의 공장, 지원시설 등이 입주할 수 있는 3층 이상의 집합건축물이다.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식산업센터에는 지식‧정보통신(IT)산업의 중소‧벤처기업 등으로 입주가 제한된다.

 

과거 제조업 중심의 기업들이 입주했지만, 최근에는 벤처기업과 정보통신 등 첨단기술 관련 업종들의 입주가 늘어나고 있다.

 

지식산업센터 거래량도 급등했다. 한국산업단지공단에 따르면 지난 2006년 751건에 불과하던 지식산업센터 거래량은 2016년 4987건으로 급증했다.

 

지식산업센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하남 미사를 비롯해 남양주 별내, 부천 옥길 등 수도권 중심으로 신축이 늘고 있다.

 

올해 상반기 전국에 승인된 지식산업센터는 60건에 달한다. 업계에서는 올해 하반기 승인 건수가 역대 가장 많을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투자자들이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규제로 갈수록 기대수익이 떨어지는 주택 대신 ‘비주거 상품’인 지식산업센터로 눈길을 돌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별다른 대출 규제가 없고, 올해 임대 목적의 개인 취득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특히 취득세와 재산세 등 각종 세금 감면 혜택이 내년부터 없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한 몫하고 있다.

 

지식산업센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공급 과잉과 과도하게 부풀린 수익 광고 등이 문제점으로 꼽힌다.

 

매년 지식산업센터 승인이 늘어나면서 공급 과잉으로 따른 수익성 악화가 우려되고 있다.

 

또한 현재 수도권을 포함한 일부 지식산업센터의 공실 문제가 심각한 수준이라는 게 업계 중론이다. 아울러 분양업체들의 허위‧과장 광고도 투자자들의 피해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전문가들은 불확실한 수익에 의존해 지식산업센터를 분양 받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