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선거법 위반 있으면 저도 고발해야 된다. 그것이 공덕의 자세다."
김문수 경기도지사가 4일 도청 회의실에서 열린 월례조회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최근 불거진 관권선거 의혹에 대해 분명한 선을 긋겠다는 의미로 읽힌다.
그는 월례조회에서 통합진보당의 경선 부정 파문을 공무원들에게 전달할 메시지의 화두로 꺼내 들었다. 그는 "진보당의 경선 부정이나, 민주통합당·새누리당 돈 봉투 살포 등 정당 안에서 치르는 선거가 선거법 적용이 잘 안돼서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요즘 일부 드러나긴 했지만, 사실 당내 선거는 그 이상으로 문제가 많다. 정당에 맡겨놔선 안된다"며 "당내 선거도 선관위가 일반선거와 똑같이 관리해야 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공무원도 선거를 공정하게 운영할 책임이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저도 대선 후보의 한 사람이지만, 선거법에 어긋난 것이 있으면 고발해야 된다"며 "공적인 청렴과 엄정한 법질서 확립을 위해 '우리가 남이가'가 아니라 '우리는 남이다'고 생각해야 된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공무원에게)'같이 가자' 그런 소리 안하겠다. 공덕의 자세로 법률적 문제를 철저하게 해달라"며 "지사직을 유지하고 간다는 것이 공직자들에게 피곤함을 줄 수도 있다. 그러나 이 피곤함이, 도민과 국민들에게 도움이 되고 거름이 돼서 열매를 맺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그는 '통합, 퍼블릭, 섬김의 리더십'을 대통령 후보가 갖춰야할 3대 리더십이라고 꼽았다. 수익에 치우친 CEO리더십 대신 평생복지 등의 퍼블릭 리더십, 권력 세습의 리더십 대신 서민을 섬기고 아품을 보듬을 수 있는 섬김의 리더십이 필요하다고 피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