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광역시는 지식재산인 노-오프(NO-OFF) 신호등이 케이오엘에이에스 케이티188(KOLAS KT188)호의 시험평가를 통과해 개발 완료함에 따라 설치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기존 신호등은 일체화된 단일전원부 고장 시 완전 소등이 되고, 보수 시 등기구 전부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개선한 노-오프(NO-OFF) 신호등은 LED 회로부와 전원(SMPS)을 이중화로 구성해서 부품 고장에도 소등을 최소화한 공무원제안이 채택돼 특허로 개발한 제품이다.
세부적 기능으로 이중화 LED 회로에 전원(SMPS)별 고장검출부를 구성해서 외관에 표현함으로써 유지‧관리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일체화된 등기구를 분리‧부품화해 고장부품만 수리가 수월하도록 보수의 편의성을 높였다.
인천광역시 관내 2500여개 교차로, 4만8000여개 차량신호등 중 부평구 ‘산곡북초등학교 교차로’에 전국에서 최초로 적용하며, 다양한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첫 번째 효과는 미래의 ‘자율주행차’ 최전방 정보습득 수단인 신호등의 강화된 안정성과 신뢰성을 바탕으로 선도적인 교통인프라를 구축할 수가 있다.
지난 2014년부터 개발 중인 디지털 교통신호제어기의 인증이 완료되고, 아날로그 교통신호제어기가 교체될 것으로 예상되는 시점에서 노-오프(NO-OFF) 신호등 설치 후 언제든 LED 회로부의 교체 없이 디지털 전원부와 통신부(IOT기능)만 추가 교체가 가능해져, 일반 신호등 대비 적은 비용으로 미래의 신기술 도입시기를 어려움 없이 앞당길 수 있다.
두 번째 효과로는 적어지는 신호등 수량으로 부착대가 축소돼서 풍압 및 하중부하가 경감돼 이종 도로시설물과의 통합 시 안정성이 더욱 높아져 보행자 중심의 안전 확보 및 도시 미관 향상에 크게 기여한다.
부평구청과의 협업으로 어린이 보호구역인 산곡북초교 교차로의 노후 교통신호시설을 보행자 중심의 축약된 교통안전 통합지주와 전후방신호체계로 개선하며, 시각효과가 가미된 원형노란갓신호등에 적용해 관련 예산 1300만원을 절감했고, 시설물 개선비용으로 교통사고가 감소돼 11억6500만원(대한교통학회지 분석 기준)의 순현재가치가 절감되는 경제적 효과를 얻을 것으로 기대된다.
세 번째 효과는 신호등 소등 대비 모든 차로에 2개 이상의 예비 신호등을 설치하는 관행을 탈피해서 2차선 이하 소로에 1개의 신호등 설치도 가능해 합리적인 에너지 절감효과가 있다.
네 번째 효과는 고장 시 산업폐기물이 되는 신호등 발생의 최소화로 최근 이슈화되는 환경오염 문제도 개선할 수 있다.
유시경 교통정보운영과장은 “미래교통시스템에 가장 필요한 안정성과 신뢰성이 확보된 합리적인 노-오프(NO-OFF) 신호등 설치로 미래사회에 먼저 나아갈 것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