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해안 경계감시 자원 전방위 확대 배치

군이 북한 목선의 삼척항 입항 사건 이후 해상 및 해안 경계작전을 강화하기 위해 감시 자원의 전방위적 확대 배치에 나선 것으로 7일 파악됐다.
국방부가 국회에 보고한 구체계획에 따르면, 군은 NLL 일대에 중·대형함 1척을 추가로 배치하고, 항공초계기와 해상작전헬기 활동을 늘리는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무인 헬기 형태로 실시간 영상 촬영과 전송이 가능한 ‘캠콥터 S-100’를 우선 투입하며, 육군 군단급에 배치된 UAV ‘송골매’를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아울러 군은 신형 해상레이더인 ‘GPS200K’ 10여대를 오는 9월부터 2025년까지 동·서·남해 등에서 전력화하고, TOD 장비 운용 체제를 개선한다.
군은 이와 관련, 주·야간 감시가 가능한 TOD-3형을 해안경계용으로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TOD를 24시간 운용 체제로 전환하는 한편, TOD-3형을 조기 배치하는 방안도 고려 중이다.
이 밖에도 군은 레이더 운용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간부와 운용요원을 보강하고, 전문화 교육체계 개선 및 실효적 훈련을 강화할 방침이다.
군과 해경 간 협조를 체계화하기 위해 군과 해경·경찰 간 상황전파 및 정보공유 조항을 신설하는 등 통합방위지침 개정도 추진한다.
저작권자 © KUB우리방송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