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민주화운동 관련 미국 기밀문서 확보를 위한 연구가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17일 5·18기념재단에 따르면, 재단 산하 5·18 진실규명 자문위원회(이하 자문위)가 최근 미국 기밀문서 확보를 위한 체계적인 연구에 나섰다.
5·18 핵심 의혹을 밝힐 수 있는 실마리로 꼽히는 미 기밀문서 확보 실무 작업에 총력을 기울이겠다는 취지다.
미 기밀문서엔 5·18 당시 발포·학살 경위, 헬기 사격과 암매장 관련 내용 등이 담겨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자문위에 소속된 군 기록물 분석 전문가와 5·18 연구진들은 미국 정부에 요청할 기밀문서 ‘목록’을 특정키로 했다.
1980년 5월 전후 한미 양국의 정보기관·군 당국·대사관 등의 전문·상황일지·회의록·보고서 내용을 검증해 공개 요구 문서명을 구체화한다. 기존에 공개된 미 기밀문서 3530쪽의 누락·삭제된 내용 등도 두루 살핀다.
특히 문서를 생산 기간별로 분류하는 작업과 키워드(진상 규명 핵심 단어, 한미 군사 용어 등)를 지목키로 했다. 발포 명령 등 5·18 핵심 의혹별로 필요한 자료의 목록도 만들 계획이다.
아르헨티나가 ‘범정부 차원의 기밀해제 프로젝트’를 추진해 군부독재 정권의 탄압·만행과 관련한 미국 자료(16개 기관 보유 5만여 쪽)를 이관받은 것처럼 5·18 미 기밀문서 확보의 당위성도 제시한다.
자문위는 한국 정부와 협의해 이 같은 작업을 진행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실무 작업은 수개월 이상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자문위는 연구를 마치는대로 정부와 향후 출범할 5·18 진상조사위원회에 문서명·가이드라인을 제공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