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이 6·15공동선언 19주년을 계기로 우리 정부에 남북 간 현안에 외세 개입을 배제할 것을 촉구하는 메시지를 연일 내고 있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6일 반제민족민주전선 평양지부 대표가 지난 15일 발표한 6·15공동선언 19주년 담화에서 “민족의 지향과 국제사회의 기대에 배치되게 이남 땅의 보수세력들은 남북선언들을 ‘굴욕문서’, ‘이적문서’로 매도하면서 과거의 대결시대를 되살려보려고 갖은 책동을 다하고 있다”며 “남북관계가 전쟁과 대결, 파국에로 치닫던 과거에로 되돌아갈 수 있는 기로에 직면하게 되었다”고 평가했다.
담화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4월 최고인민회의 시정연설에서 “조선반도의 평화와 남북관계 개선을 이룩하기 위한 공화국의 원칙적 입장과 근본방도를 명백히 천명하시었다”며 “이는 남북관계를 지속적이며 공고한 화해·협력관계로 전환시켜 자주통일과 평화번영의 활로를 열어나갈 수 있게 하는 가장 정당하고 합리적인 지침”이라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시정연설에서 남북관계를 ‘화해 협력관계’로 전환하려는 결심이 “확고부동”하다고 재차 확인했으나, 이 연설에서 “외세의존정책에 종지부를 찍고 모든 것을 북남관계 개선에 복종시켜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한미연합훈련을 “무분별한 책동”, 미국의 대북제재를 “적대시 정책”이라고 주장하며 이러한 것을 청산하지 않으면 “결실을 기대할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날 담화는 “적대적인 내외 반통일·반평화 세력들의 책동을 단호히 저지 파탄하기 위한 범국민적 투쟁의 불길을 세차게 지펴 올릴 것”이라고 선동했다.
북한의 우리민족끼리도 이날 ‘민족의 운명을 우려하는 사람이라면’ 제하의 논평에서 “사대적 근성과 외세의존 정책에 종지부를 찍을 대신 계속 외세의 장단에 춤을 춘다면 오히려 자기의 처지를 더욱 난처하게 만들 뿐이다”라며 정부의 태도 변화를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