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유럽 3개국 순방이 사흘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의 여야 5당 대표 회동과 황교안 한국당 대표와의 단독회담이 사실상 무산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여전히 양측은 물러설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며 팽팽히 맞서고 있다.
앞서 청와대는 황 대표의 단독회담 제안을 수용하는 대신 여야 5당 대표 회동까지 함께 7일 열자는 중재안을 한국당에 보냈다.
이는 9일부터 문 대통령이 6박 8일 동안 북유럽 3개국 순방을 떠나는 일정을 고려한 것이다.
하지만 황 대표는 이를 거부하고 교섭단체 3당 대표 회동 및 단독회담을 가져야 한다고 역제안했다.
청와대는 그럼에도 늦어도 7일까지 황 대표 측에 긍정적인 답변을 기다린다고 밝혔지만 내부에서는 순방 전 지도부와의 회동 성사가 사실상 어렵지 않겠느냐는 목소리도 적지 않게 들린다.
일각에서는 문 대통령이 황 대표와 대면하는 제64회 현충일 추념식에서 대화의 물꼬를 틀 수 있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나왔다.
그러나 이날 문 대통령은 황 대표와 약 3초가량 짧은 대화와 인사만 나눴을 뿐이었다.
답보 상태에 놓인 현안에 대해 청와대는 하루빨리 국회를 개원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순방 전 국회 정상화의 물꼬를 트지 못한다면 추가경정예산안의 정책적 효과는 반감될 뿐더러, 민생 법안도 끝없이 계류 상태에 놓이게 된다.
게다가 성과가 시급한 집권 3년 차에 언제까지 국회 공전 사태를 냅둘 수 없다는 답답함도 감지된다.
한국당은 패스트트랙 강행 처리에 대한 사과와 철회를 선결 조건으로 내세우고 있다.
그러나 막판까지 성사 여부는 두고 봐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일각에서는 전격적으로 순방 전 문 대통령과 황 대표 간 일대일 회담이 성사될 수 있다는 말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