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통령 직속 ‘미세먼지 문제 해결을 위한 국가기후환경회의’ 위원장인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미세먼지 문제 해결과 관련해 1일 “이익집단 간의 비타협적 대결이나 정치권의 정쟁으로 비화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며 대승적 합의와 단결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반 위원장은 이날 오후 “미세 먼지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이 제시될 경우 정치적 협조와 산업계 동참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반 위원장은 “미세먼지 문제는 국민건강과 직결돼 시급성이 절박하다. 정치적 이념과도 전혀 무관하다”며 “정치권의 초당적 협력이 뒷받침되어야 하며 국민 전체의 동참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미세먼지 문제는 산업계이 일부 대표와 각계의 노사만의 문제도 아니고 오로지 국민의 건강과 관련된 것, 이러한 갈등이 이익집단 간의 비타협적 대결이나 정치권의 정쟁으로 비화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 위원장은 미세먼지 문제 해결을 위해 중국을 비롯한 이웃한 동북아 지역 국가들의 협력 강화에도 무게를 뒀다.
그는 “지난주 방콕에서 열린 유엔 에스캅, 아태 경제사회위원회 총회에서 우리나라가 제출한 대기오염 대응 결의안이 회원국 합의로 채택됐다”며 “중국을 포함한 62개국이 미세먼지를 포함한 대기 오염물질을 줄이기 위해 국제간 협력을 강화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그러면서 “미세먼지 문제 해결을 위해 중국도 있지만, 동북아 지역 모두 다 같이 협력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그런 면에서 중국과 일본, 몽골 북한, 러시아 등과 협조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반 위원장은 이어 “중국의 미세먼지 발원과 관련해 보다 많은 데이터 확립이 필요하다. 4월 초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만났을 때 중국 역시 미세먼지 해결을 위해 더 노력하고 심혈을 기울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런 면에서 미세먼지 해결을 위한 중국의 경험 등을 공유하는 방안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반 위원장은 “‘국가기후환경회의’는 사회적 재난 수준에 이른 미세먼지 문제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우리 사회 다양한 주체들의 참여로 도출해 정부에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전 국민과 소통하며 국민의 총의를 모으는 데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