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남구 무허가 판자촌 구룡마을이 연내 토지보상을 시작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지난 8년간 지지부진하던 도시개발사업이 성과를 낼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28일 부동산플랫폼 지존에 따르면 서울시는 오는 6월 말 ‘구룡마을 도시개발사업’에 대한 실시계획 승인을 고시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실시계획 승인에 앞서 내달 초께 주민설명회를 개최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 사업은 강남구 개포동 일원 26만6304㎡에 지어진 집단 무허가 판자촌을 허물고 임대 1107가구 등 아파트 2692가구를 짓는 것이 주요 계획이다.
구룡마을은 지난 1970~1980년대 개포동일대 개발로 집을 잃은 철거민 등 1100가구가 집단 촌락을 형성한 후 약 30년간 방치돼 오다가 2012년 서울시가 재개발을 결정했다.
하지만 개발 방식을 둘러싼 서울시와 강남구 간의 갈등, 보상문제를 놓고 지역주민 설득문제 등으로 지난 8년간 사업이 지연돼 왔다.
이번에 계획대로 실시계획이 승인이 되면 사업시행자인 SH(서울주택도시공사)는 오는 9월에 보상계획을 열람 공고한다.
이후 감정평가 등을 거치면 오는 12월부터 본격적인 협의 보상이 시작될 것으로 점쳐진다.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이곳에서 풀리게 되는 토지보상금은 직접보상비 3500억원과 이주비 등 간접보상비를 포함해 모두 4400억원으로 추산된다.
다만 실제로 사업 추진까지는 여전히 장애가 많다.
거주민들이 이주비 현실화를 포함해서 현금 보상이나 향후 분양권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서울시와 SH는 임대아파트 공급 등 법의 테두리 내에서만 지원이 가능하다는 방침을 고수하고 있어 협의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