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내달 1일부터 강원도 철원 지역 ‘비무장지대(DMZ) 평화의 길’을 민간에 개방하기로 한 가운데 이를 북측에 통보한 것으로 확인됐다.
최현수 국방부 대변인은 20일 정례브리핑에서 DMZ 평화의 길 철원 구간 민간 개방을 북측에 통보했는지 묻는 질문에 “혹시나 모를 여러 사안들을 고려해서 최근 북한에 (민간 개방을) 통보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답변했다.
최 대변인은 “실제적으로는 이번에 개방하는 지역은 군사분계선(MDL) 이남, 남쪽이기 때문에 북한에게 굳이 통보해야 될 의무는 없다”면서 “안전에 대한 부분 때문에 한 것이지 특별한 이유는 없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최근 남북 군 통신선을 이용해 철원 구간 개방 일정 등을 북측에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북측이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지만 관련 통보로 북측이 철원 구간 개방 사실을 충분히 인지한 것으로 군 당국은 파악하고 있다.
정부는 강원도 고성(동부)과 철원(중부), 경기도 파주(서부) 등 3개 지역 DMZ에 안보 체험길을 조성해 민간에 개방하기로 했다. 고성 구간은 지난달 27일 시범 개방했다.
철원 구간은 백마고지 전적비에서 출발해 비상주GP(일명 철원GP)까지 구간을 도보와 차량으로 이동하는 15㎞ 구간이다.
지난달 고성 구간과 달리 비무장지대(DMZ) 안으로 코스가 조성됐고, GOP(일반전초) 안에 있는 비상주 GP(감시초소)를 개방하는 것이어서 관광객에 대한 안전대책이 요구된다.
군 당국은 방문객이 이동하는 전 구간의 도로는 시멘트와 아스팔트로 포장한다.
GOP 안에서는 차량으로 이동하되, 비상주 GP(감시초소) 지역에서는 하차한다.
따라서 군은 경계작전에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관광객의 견학이 가능하도록 하고, 경호병력이 안내를 책임지는 등 안전대책을 철저히 강구할 방침이다.
군 관계자는 “군에서는 모든 경계작전 감시장비를 다 면밀하게 보고 있고, (북한군의) 총안구(총이나 포를 쏘기 위한 구멍) 개방이라든가 이런 상황들은 견학이 이뤄지는 동안에 면밀히 감시상태를 유지하고 방어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