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8-21 16:46 (목)
국방부 “김정은 지도 北전술유도무기, 분석 중”
상태바
국방부 “김정은 지도 北전술유도무기, 분석 중”
  • 이교엽 기자
  • 승인 2019.04.18 15: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美전문가들, 다연장로켓포 가능성 제기
▲ 전투비행사들의 비행훈련 지도하는 김정은 국무위원장. <뉴시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참관한 가운데 사격시험이 이뤄진 북한의 신형 전술유도무기를 놓고 다양한 분석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군 당국이 해당 무기가 어떤 기종인지 정밀 분석 중이다.

김준락 합참 공보실장은 18일 김정은 위원장이 신형 전술유도무기 사격시험을 참관했다는 북한 매체 보도와 관련 “북한 매체에서 언급한 무기에 대해 분석 중”이라고 밝혔다.

북한의 이번 미사일 사격시험에 대해 군 당국이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이는 가운데 전문가들 사이에선 다양한 분석을 내놓고 있다. 

사격시험 모습을 담은 사진이 공개되지 않아 무기를 특정할 수 없지만 ‘특수한 비행유도방식과 위력한 전투부’라는 점과 전략무기에 대한 언급이 없던 점과 ‘여러 가지 사격방식’이라는 표현 등을 비춰봤을 때 새로운 형태의 단거리 미사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스파이크 미사일은 적외선 유도로 은폐된 목표물을 정밀 타격할 수 있는 미사일로 최대사거리는 25㎞다. GPS와 전자광학렌즈가 장착돼 자동추적과 미세 조정 등이 가능하다.

아울러 박정천 북한군 포병국장이 김 위원장의 현지지도에 참석한 점을 비춰봤을 때 포병계열의 무기일 가능성도 유추가 가능하다. 북한은 과거에도 무기 운용이나 시험에는 해당군의 지휘관을 대동했다.

포병과 관련된 무기로는 신형다연장로켓포(MLRS)가 거론된다. 미국 매서추세츠공대(MIT)의 핵확산전문가인 비핀 나랑 교수는 CNN과의 인터뷰에서 MLRS일 가능성을 제기했다.

다만 MLRS의 경우 특수한 유도방식이라는 표현과는 거리가 있어서 가능성이 떨어진다는 의견도 나온다.

일각에서는 단거리 지대지 미사일과 궤적이 비슷한 KN-09(300㎜ 방사포) 가능성도 제기되지만, 과거 우리 군 당국은 300㎜급 대구경 방사포의 경우에는 즉각적으로 발표를 해왔기 때문에 이보다는 사정거리나 파괴력이 낮을 것으로 추측해볼 수도 있다.

아울러 신형 순항미사일 계열일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

단거리 순항미사일을 발사한 경우 일정 고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우리 군이 보유한 각종 탐지 자산에 궤적 등이 포착될 수밖에 없지만 군 당국이 분석에 애를 먹는 것으로 미뤄 정확한 판단은 유보적이다.

김정은 위원장이 신형 전술유도무기 사격시험 현장을 참관한 것은 대외적으로 ‘비핵화 의지’를 나타내면서도 내부 결속을 다지기 위한 의도라는 분석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