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8-21 16:46 (목)
강원 산불에 전방위 대응 속도전
상태바
강원 산불에 전방위 대응 속도전
  • 박경순 기자
  • 승인 2019.04.07 17: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청와대와 정부의 재난대처능력 ‘주목’
▲ 향후대책 지시하는 문재인 대통령. <뉴시스>

강원 고성·속초 일대를 휩쓴 대형 산불 진화 작업이 막바지 단계에 접어들면서 청와대와 정부의 재난 대처 능력에 시선이 쏠리고 있다.

청와대가 재난 상황을 진두지휘하고, 행정안전부를 비롯한 전(全)부처가 속도감 있게 총력 대응해 그나마 큰 인재(人災)를 막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일각에서는 ‘교과서적 대응’이라는 말까지 나오면서 재난 컨트롤타워로서의 제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는 평가다. 

특히 이번 총력 대응의 이면에는 ‘중대 재난재해의 컨트롤타워는 청와대’라는 문재인 대통령의 기본 인식 하에 대형 재난 관리를 위한 제반이 마련됐기 때문이란 분석이 나온다.

24시간 위기관리센터 가동을 통한 정부와의 긴밀한 공조, 신속한 ‘재난사태’ 선포를 통한 상황 관리, 소방청 독립을 통한 상황 대처의 효율성 제고, 영상회의로 재난 관리 기능 강화 등이 이번 신속 대응의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이는 전 정부에서 세월호 참사 등 국민 안전 관리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면서 정권이 위기에 몰렸던 경각심과 함께 ‘안전한 나라’를 만들겠다고 한 대통령의 공약과도 무관치 않다. 

청와대의 발빠른 지시에 맞춰 정부도 신속하게 움직였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화재 발생 2시간 30분만에 긴급지시를 내리고, 재난 대응 수준을 최고단계인 3단계로 격상하면서 국가적 대응 체계를 구축했다.

이는 전국 각지에서 지원 인력과 장비를 사고지역으로 지원할 수 있었던 기반이 됐다. 24시간 동안 소방공무원 3251명, 펌프차 등 소방차 872대, 소방헬기 6대 등 사상 최대 규모의 인적·물적 자원이 화재 진화에 투입됐다. 

나아가 문 대통령이 긴급회의에서 ‘특별재난지역’ 지정 검토까지 언급하면서, 이번 사태가 지자체의 능력을 넘어 국가적 차원의 총력 대응이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발신, 전 부처 직원들을 긴장케 했다.

또 소방청이 발 빠르게 움직일 수 있었던 것은 지난 2017년 6월 정부조직개편 당시 소방본부가 ‘소방청’으로 분리된 데 따른 것이란 분석이다.

아울러 이번 강원 산불로 ‘재난관리 영상회의’ 기능도 부각됐다. 

정부의 사후 피해 관리 역시 시선을 끌었다. 

문 대통령은 지난 6일 대형 산불 피해를 입은 강원도 5개 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해 피해 지역에 대한 범정부적인 인적·물적 지원의 길을 열었다. 

정부도 이재민 긴급주택 지원 등을 포함한 후속 지원 조치에 속도를 내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