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발표한 ‘최근 전세시장 상황 및 관련 영향 점검’ 자료에 따르면 전세가격이 지난 1월과 2월에 비해 10% 하락할 경우 전체 임대가구의 1.5%에 해당하는 3만2000가구가 세입자에게 제때 돈을 줄 수 없을 전망이다.
실제 최근 전세가격이 하락하는 아파트는 늘고 있는 추세다. 전셋값 하락 아파트 비중은 2016년 10.2%에 불과했지만 지난달 1월과 2월에는 52%로 5배 증가했다.
이 중 하락폭이 10%를 넘는 아파트도 절반 이상으로 많다. 특히 문제가 될 수 있는 곳은 상대적으로 보증금이 낮은 지방 아파트들이다.
보증금 1억원 미만인 아파트 32.6%의 전세가격이 1월과 2월 중 2년전보다 10% 이상 하락했다.
반면 3~5억원은 16%, 5억원 이상은 9.5%로 비교적 하락세가 약했다. 현재 지방 아파트 전세가격은 1억5000만원으로 수도권의 3억1000만원의 절반 수준이다.
전세가격 하락으로 인해 전체 금융시스템이 흔들릴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임대가구 절반 이상은 고소득이고 실물자산 또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대가구의 64.5%가 소득분위 4~5분위에 해당하는 고소득이다. 또한 실물자산을 가구당 평균 8억원씩 많이 보유하고 있어 임대가구의 총자산 대비 총부채 비율은 26.5%로 낮다.
전세자금대출 역시 보증부로 취급되고 있다. 부실 대출 발생시 금융기관은 보증기관 대위변제를 통해 대출금을 회수할 수 있다.
다만 완전히 안심하기는 어렵다. 임대가구의 금융자산 대비 보증금 비율이 계속 상승하고 있고, 전세자금대출의 신용위험이 보증기관으로 옮겨갈 수 있기 때문이다.
한은 관계자는 “가구별이나 지역별, 주택유형별로 전세가격 조정폭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어 전세가격이 크게 하락한 곳이나 부채레버리지가 높은 임대주택을 중심으로 보증금 반환 관련 리스크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