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른미래당의 선거제 개혁안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처리 여부를 둔 내홍이 격화되고 있다.
자유한국당을 제외한 여야 4당이 선거제 개편안 초안을 마련한 지 하루 만에 반발의 목소리가 다시 터져나오고 일부 의원들의 탈당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다.
이준석 바른미래당 최고위원은 18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당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당과 손 대표님이 명운을 걸고 추진한 선거법 개정이 무리한 추진으로 또다른 당내 불안의 씨앗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라며 패스트트랙 처리 반대 의사를 밝혔다.
그는 “애초 선거법 개정 및 패스트트랙 지정과 같은 중요한 사안은 당헌당규에 따라 3분의 2이상 원내 의원들의 동의를 받아 당론으로 지정해야 한다. 지난 의총에서 3분의 2이상 동의에 이르지 못했다”라며 “현재 타협안으로 제시된 민주당의 준연동제는 단순한 계수조정이 아닌 재추인을 받아야 될 정도의 제도 변화라고 본다”라고 주장했다.
바른미래당 원외위원장 10명도 반대 성명서를 냈다.
바른미래당은 앞서 14일 의원총회를 열어 4시간 가까이 격론을 벌였으나 이견만 확인한 채 결론을 내지 못했다.
대체로 바른정당계 의원들을 중심으로 반대 의견이 강하게 피력된 것으로 알려졌다.
패스트트랙 처리에 반대하는 의원들은 합의안이 당초 선거제 개혁 취지를 벗어난다는 우려와 민주당에 대한 불신, 검경수사권 조정 법안의 연계 반대 등을 들고 있다.
일부 의원들은 탈당 의사까지 내비친 것으로 알려졌다.
오신환 바른미래당 사무총장은 MBC 라디오 ‘심인보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일부 탈당을 하겠다고 밝힌 의원들이 있는 것은 들은 바가 있다”라고 밝혔다.
바른미래당 원내지도부는 협상을 이어간다는 방침이지만, 총의를 모으기까지 적잖은 진통이 예상된다.
이에 따라 여야4당의 단일안 최종 합의도 고비를 맞은 양상이다.
손학규 대표는 내부에서 제기되는 우려에도 패스트트랙 처리를 진행해야 한다는 의사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