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8-21 16:46 (목)
업계-소비자들, LPG법 개정안에 신차 관심 ‘고조’
상태바
업계-소비자들, LPG법 개정안에 신차 관심 ‘고조’
  • 박경순 기자
  • 승인 2019.03.14 14: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르면 이달부터 일반인들이 액화석유가스(LPG)자동차를 구매할 수 있게 되면서 LPG자동차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국회는 13일 본회의에서 LPG자동차 규제 전면 폐지 등의 내용을 포함한 ‘액화석유가스(LPG) 안전관리사업법 개정안’을 236명 찬성, 1명 반대로 가결시켰다.

LPG법 개정안은 정부로 이송돼 국무회의 의결과 공포를 거치면 즉시 시행된다. 정부가 후속절차를 신속히 진행하면 이르면 이달부터 일반인들의 LPG차량 구매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정부는 이번 조치로 지난해 말 205만2870대였던 LPG차가 2030년 기준 LPG차량 282만2000대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LPG차량은 가솔린 차량에 비해 차량 가격과 연료비가 모두 저렴하다. 이에 완성차 업체들 역시 소비자들의 반응을 예의 주시하며 신차 계획을 저울질하고 있다. 

기존 렌터카용으로 출시된 LPG 차량 등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을 보고 추가 개발을 검토하겠다는 것이 주된 분위기다. 

아반떼·소나타·그랜저·스타렉스에 LPG모델을 운영하고 있는 현대자동차는 편의성을 높인 신형 쏘나타 LPG모델을 준비하고 있다. 소형 SUV 코나의 LPG 모델 출시 가능성도 언급되고 있다. 

경차 모닝과 레이, K5, K7 등에 LPG모델 라인을 운영하고 있는 기아자동차도 라인업 확충을 저울질하고 있다. 시장은 카렌스 후속모델에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이미 중형 세단인 SM6, 준대형 세단인 SM7의 LPG모델을 판매하고 있는 르노삼성자동차는 SUV인 QM6 LPG모델을 준비 중이다. 

오는 4월 양산에 돌입해 올해 상반기 내에 본격 출시가 이뤄질 전망이다. 

올란도 단종으로 LPG모델이 없는 한국지엠과 디젤 중심인 쌍용자동차는 일단 시장 반응을 지켜본 후 LPG차에 대한 판단을 내릴 것으로 보인다. 

쌍용차는 지난해 9월 LPG개조 업체와 협업해 티볼리 가솔린 모델에 LPG연료 시스템을 별도 탑재하는 형태로 ‘티볼리 LPG’ 모델을 서비스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택시·렌터카·장애인용으로 LPG차가 판매되고 있었고 법이 시행되면 일반인들이 곧바로 렌터카용으로 판매되던 차량을 구매할 수 있다”며 “소나타가 2.0의 경우 가솔린이 2291만원 렌터카용 LPG차가 1755만원부터 시작하는 만큼 소비자에게 매력이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