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으로 5G 기반의 자율주행차 시대가 열리면, 자동차 안에서 운전대를 잡지 않고 다양한 일상생활을 즐길 수 있게 될 전망이다.
한양대학교 자동차전자제어연구실 ‘ACE Lab’과 LG유플러스는 11일 한양대학교 서울 캠퍼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세계 최초 5세대 이동통신 기반의 도심도로 자율주행 기술을 공개 시연했다.
선우명호 한양대학교 ACE Lab 교수는 “우리나라의 자율주행 알고리즘 수준은 세계적”이라며 “자율주행차 상용화는 기술적으로만 보면 1~2년 내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아직은 자율주행의 보다 높은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많은 데이터가 필요하며, 자율주행차의 대중화를 위해 가격적인 측면에서도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자율주행차가 통제되지 않은 도심 도로에서 일반 차량들 틈에 섞여 달린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다.
성수동 한강사업본부에서 출발한 A1은 강변북로-영동대교-올림픽대로-성수대교를 거쳐 서울숲 공영주차장에 도착하는 약 8km의 거리를 25분 동안 스스로 주행했다.
이날 한양대 시연장에서는 LG유플러스가 구축한 5G망과 자체 개발한 저지연 영상송신기를 통해 자율주행 모습의 실시간 중계가 이뤄졌다.
자율주행차 내부에 장착된 2대의 카메라가 주행 영상을 촬영하면 관제센터를 통한 5G망으로 지연 없이 한양대까지 전송하는 방식이다. 관제센터에서는 자율주행차의 현재 위치도 실시간으로 보여줬다.
시연장 한쪽에는 LTE와 5G의 실제 처리 속도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영상 비교 체험 공간도 마련됐다. 카메라 1대는 5G와 저지연 영상송신기, 다른 1대는 LTE로 중계되는 화면을 송출해, 각 통신망에 따른 영상 처리 속도의 차이를 쉽게 볼 수 있도록 했다.
특히 5G의 경우 초저지연 속성을 기반으로 현장 상황을 신속하게 전달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자율주행차가 대중화되면 각각의 차량들이 감지하는 현장 교통 정보를 관제센터에 전송하고, 관제센터에서는 이를 기반으로 다시 각 자동차에 최적 주행 경로를 실시간으로 내려줘 교통 흐름을 원활하게 돕는다. 특히 수십·수백 만대의 차량과 대용량 정보를 실시간으로 주고 받기 위해서는 ‘데이터 고속도로’라 할 수 있는 5G 통신망이 필수적이다.
자율주행 시대가 열리면 차량 탑승자의 개인 시간 활용도도 커질 전망이다.
향후 LG유플러스는 준비 중인 VR전용 플랫폼을 통해 ▲구글과 공동 제작한 독점 콘텐츠 ▲다양한 장르의 VR 영화 ▲아름다운 여행지 영상 ▲세계적으로 주목 받는 공연 영상 ▲인터렉티브 게임 ▲VR 웹툰 등 양질의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할 계획이다.
앞으로 사람이 타지 않고도 움직이는 ‘완전 자율주행’ 시대가 도래하면 실감형 미디어 시장도 함께 고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실감형 미디어뿐 아니라 5G, 자율주행차, 커머스를 연계한 신규 서비스도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