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8-21 16:46 (목)
韓, 내년 방위비 협상서 주둔비+50% 요구받을 수도
상태바
韓, 내년 방위비 협상서 주둔비+50% 요구받을 수도
  • 이교엽 기자
  • 승인 2019.03.10 14: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장원삼(오른쪽) 외교부 방위비분담협상 대표와 티모시 베츠 미 국무부 방위비분담협상 대표. <뉴시스>

워싱턴포스트(WP)는 9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보좌진들과의 개인적인 대화에서 위와 같은 구상을 직접 내놓았다고 보도했다. WP는 해당 구상을 “눈알이 튀어나올 공식’으로 표현했다. 

50%는 미군 주둔을 유치하는 ‘특혜’ 비용을 말한다.

앞서 지난 8일 블룸버그 통신은 트럼프 행정부가 미군이 주둔하고 있는 동맹국에 ‘비용+50%’를 분담하라고 요구할 예정이라고 보도한 바있다. 

하지만 이 구상을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내놓았다고는 언급하지 않았다. 

통신은 행정부 소식통을 인용해 미군 배치에 따른 모든 비용은 주둔국이 부담해야 하고, 미군을 유치하는 특혜에 대한 대가로 50%를 더 내야 한다는 것이 정부의 입장이라고 전했다. 

일본, 독일은 물론 모든 미군 주둔국에 대해 이같은 요구 사항을 제시할 계획이라는 이야기다. 

WP는 트럼프 대통령이 해당 구상을 ‘비용 플러스 50(cost plus 50)’으로 부르고 있다면서, 미국 동맹국들은 이를 터무니없는 것으로 여긴다고 전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이 구상을 미군이 주둔하는 모든 국가에 적용할 수도 있다는 소문이 돌면서, 특히 한국과 독일, 일본이 흔들리고 있다고 WP는 전했다. 

WP는 트럼프 정부의 강경전략에 처음으로 직면했던 국가가 바로 한국이라고 말했다.

이어 한국은 지난 2월 2만8500명의 미군 주둔비로 9억2500만달러를 지불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고 전했다. 

또 한국 관리들은 5년 계약을 원했지만 1년짜리로 합의됐다며, 이것은 곧 한국이 내년에서는 트럼프의 ‘비용 플러스 50’요구에 직면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유럽의 고위 외교관들은 지난 수개월동안 트럼프 대통령의 ‘비용 플러스 50’ 구상에 관한 소문이 돌았지만, 아직 백악관으로부터 공식 요구나 협박을 받지는 않은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