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 대통령은 4일 청와대에서 NSC 전체회의를 주재했다.
NSC는 국가 외교·통일·안보 문제를 결정하는 최고 의결기구다. 한반도를 둘러싼 외교안보 정세를 평가하고 대응책을 논의하며, 대통령에게 자문한다.
문 대통령은 이날 강경화 외교부 장관, 조명균 통일부 장관, 정경두 국방부 장관으로부터 현 상황분석에 대한 보고를 받은 이후 북미 간 중재 외교에 대한 구상을 매듭지을 것으로 전망된다.
북미 비핵화 협상 동력이 식기 전에 되살리기 위해서는 시간적 여력이 그다지 많지 않다는 평가다.
지난해 5월 24일 트럼프 대통령이 예정된 6·12 북미 정상회담을 3주 가량 남겨두고 취소하자, 문 대통령이 이틀 뒤인 26일 판문점 북측 통일각에서 김정은 위원장과 원포인트 남북 정상회담을 통해 되살린 경험과 같은 돌파구 마련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가장 유력한 방안으로는 지난해 5월 26일처럼 김 위원장과의 판문점 ‘원포인트’ 남북 정상회담을 거쳐 3월 중 워싱턴 방문으로 트럼프 대통령을 설득하는 시나리오가 청와대 안팎에서 제기된다.
비핵화 협상 결렬의 책임이 있는 북미 두 정상을 직접 움직이기 위해서는 문 대통령이 나서서 협상 재개의 명분을 만들어줘야 한다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8일 회담 결렬 후 가진 문 대통령과의 한미 정상통화에서 김 위원장과 대화 후 결과를 자신에게 알려주는 등 적극적인 중재 역할을 당부한 바 있다.
문 대통령은 최대한 이른 시간 내에 김 위원장으로부터 직접 협상 결렬과 관련한 상황을 듣고, 미국과의 협상 절충 가능성 등을 파악한 후에 워싱턴을 찾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5월에는 판문점 극비 회담 하루 전에 국정원-통전부 라인을 통해 북측이 회담을 먼저 제안해 왔듯, 이번에는 우리가 먼저 만남을 제안해야 한다는 시각이 적지 않다.
다만 문 대통령이 지난해 한 차례 좌초될 뻔한 북미 정상회담을 성사시켰던 당시와는 상황이 많이 달라졌다는 점에서 보다 정교한 핸들링이 요구된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본 협상이 열리기 전의 취소 위기 상황에서 중재한 지난해의 상황과, 정상회담을 마쳤는데 합의에 이르지 못한 현재의 상황은 다르다는 것에 바탕을 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