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원내대표가 13일 국회 본회의를 앞두고 민생 법안 처리 문제 등을 논의했다. 다만 쟁점 사안인 ‘대장동 개발 비리 항소 포기’ 국정조사와 관련해서는 구체적인 논의가 이뤄지지 않았다.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문진석 민주당 원내운영수석부대표,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 유상범 국민의힘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우원식 국회의장 주재로 만나 이같이 협의했다고 회동 참석자들이 전했다.
문 수석은 “(국회 본회의) 의사일정, 본회 관련한 안건들을 논의했다”고 했고, 유 수석도 “의장과의 회동에서는 항소 포기와 관련된 국정조사에 대해 별도로 논의 하지 않았다”고 했다.
앞서 여야는 전날(12일) 회동에서 ‘대장동 개발 비리 항소 포기’ 관련 국정조사 추진 문제를 논의했지만 결론을 내지 못한 바 있다.
현재 민주당은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차원의 국정조사를, 국민의힘은 특별위원회 구성을 통한 별도 조사 방식을 요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정조사 대상 역시 민주당은 대장동 사건 항소 포기를 둘러싼 검찰의 반발 및 기소 과정 전반을, 국민의힘은 항소 포기 외압 의혹을 각각 겨냥하며 온도차를 보이고 있다.
민주당은 여야 간 이견이 좁혀지지 않을 경우 이번주 내에 여당이 원하는 내용의 국정조사 요구안을 독자 제출할 전망이다. 문금주 원내대변인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만약 협상이 결렬되면 이번주 중에 민주당이 요구하는 것으로 국정조사 요구안을 제출하는 것으로 안다”고 했다.
반면 유 수석은 “국정조사와 관련해 여야 이견이 없었던 것은 오송 참사 관련 국정조사 1건뿐이었다”며 “그래서 (대장동 국정조사와) 관해서는 여야 간 국정조사 진행방식에 대해 추가 논의가 계속 있을 예정”이라고 했다.
이어 “(민주당 독자 제출은) 파행으로 하겠다는 선언으로 보겠다”며 “법사위에서 국정조사를 하겠다는 것은 사실상 ‘항소 포기 외압 의혹’을 밝히지 않겠다는 선언과 동일한 얘기”라고 했다.
한편 여야는 이날 회동에서 ‘제주항공 무안공항 여객기 참사 국정조사’ 구성에 대해서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위 위원 구성 비율 등이 쟁점인 가운데, 여야가 일정 부분 의견 일치를 본 것으로 전해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