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13일 노만석 검찰총장 직무대행 사의 표명을 두고 “업무 처리가 깔끔하지 않다”고 아쉬움을 표했다. 대장동 사건 재판 항소 포기에 반발한 검찰을 향해서는 “징계 처분해야 한다”고 압박했다.
문진석 원내운영수석부대표는 이날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노 대행 업무처리가 깔끔하지 않다는 느낌을 받았다”며 “본인이 항소하지 않겠다는 소신이 있었다고 한다면 법무부 장관에게 서면으로 지휘해 달라고 요구하는 게 맞을 것 같다”고 말했다.
노 대행은 ‘대장동 사건 1심 항소 포기’ 논란 끝에 전날 사의를 표명했다.
문 원내수석은 “이런 결정들은 정치적 결정이 아니고 그야말로 실무적 결정인데 정치인 출신 정성호 장관이 내릴 수 있는 결론이 아니다”라며 “정권에 도움도 되지 않고 국민의힘에서는 이재명 대통령을 걸고 넘어지는데 이재명 대통령한테 도움 될 게 뭐가 있나”라고 했다.
문 원내수석은 “윤석열 정권이 들어서면서 (대장동) 1차 수사팀이 수사를 마무리하려고 하는 시점에 다시 2차 수사팀이 투입이 되면서 수사의 방향이 완전히 바뀐다. 소위 말하면 ‘이재명 대통령 죽이기’ 수사로 바뀐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번 재판의 결과를 보면 이재명 대통령은 전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와 있지 않나”라며 “조직적으로 항명하고 있는 이 세력들은 당연히 징계를 받아야 되고 거기에 합당한 책임을 져야 된다”고 강조했다.
전현희 최고위원도 이날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서 노 대행 사의 표명에 “이번 사태에 있어서 사실상 많은 실망을 줬다. 본인이 조금 더 어느 쪽이든지 입장을 단호히 하고, 그 결정에 대해서 국민들을 설득을 하는 이런 모습을 보여야 했는데 이도 저도 아닌 어정쩡한 모습으로 혼란을 부추긴 그런 책임이 있다”고 비판했다.
전 최고위원은 노 대행이 이진수 법무부 차관으로부터 전화로 ‘세 가지 선택지’를 받아 사실상 항소 포기 의사를 전달 받았다고 언급한 데 대해서는 “노 대행이 생각하는 세가지 선택지 아니었을까”라고 했다.
전 최고위원은 “자기가 정무적인 판단이나 법리적인 판단을 했을 때 검찰로서는 세 가지 선택지가 있다고 생각했을 가능성이 높다”며 “검찰총장 권한대행이면 자기의 책임 하에 소신껏 결정을 해야 된다. 그것이 항소든 항소 포기든”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만약에 조작기소이고, 불법이 너무나 명확하다면 공소 취소도 당연히 검토를 할 수 있다. 무엇보다 그런 불법을 저지른 검사들에 대해서는 형사 처벌이라든지 징계를 확실히, 이번에는 결코 넘어가지 않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