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대통령은 19일 포용국가 추진계획에 대해 “모든 국민이, 전 생애에 걸쳐, 기본생활을 영위하는 나라가 포용국가 대한민국의 청사진”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서울 노원구 월계문화복지센터에서 열린 ‘포용국가 사회정책 대국민 보고회’ 모두 발언에서 “오늘 발표한 포용국가 추진계획은 돌봄·배움·일·노후까지 모든 국민의 생애 전 주기를 뒷받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며 이렇게 밝혔다.
문 대통령은 “우리 정부는 혁신적 포용국가를 목표로 하고 있다”며 “4차산업혁명시대를 맞아 혁신성장을 이뤄가면서 동시에 국민 모두가 함께 잘 사는 포용적인 나라를 만들어 가자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대한민국이 혁신적 포용국가가 된다는 것은 혁신으로 함께 성장하고, 포용을 통해 성장의 혜택을 모두 함께 누리는 나라가 된다는 의미”라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혁신성장이 없으면 포용국가도 어렵지만, 포용이 없으면 혁신성장도 없다”며 “혁신성장도, 포용국가도 사람이 중심”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포용국가에서는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의 역량이 중요하다. 마음껏 교육받고, 가족과 함께 충분히 휴식하고, 기본적인 생활을 유지해야 개인의 역량을 발전시킬 수 있다”며 “이 역량이 4차산업혁명시대에 지속가능한 혁신성장의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포용국가의 개념에 대해 문 대통령은 “국가가 국민에게, 또는 잘 사는 사람이 그 보다 못한 사람에게 시혜를 베푸는 나라가 아니다”라며 “서로가 서로에게 힘이 되어주면서 국민 한 사람 한 사람과 국가 전체가 더 많이 이루고 더 많이 누리게 되는 나라”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국가가 국민의 일상을 지켜줘야 한다는 개념이 정책에 반영되고, 그 정책이 국민에게 체감되기 시작한 것은 얼마 되지 않았다”며 김대중 정부의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도입을 예로 들었다.
그러면서 “20년 사이 우리 국민 의식은 더욱 높아졌고, 국가는 발전했다. 최소한의 삶을 보장하는 것만으로는 인간으로서의 존업을 지키지 못한다는 것을 알게됐다”며 “대한민국의 국력과 재정도 더 많은 국민이 더 높은 삶의 질을 누릴 수 있도록 뒷받침하는 데 충분할 정도로 성장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새로운 시대, 새로운 직업에 적응하기 위해 교육을 보장하고, 스스로의 역량을 키울 수 있는 나라로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