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8-21 16:46 (목)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 재두루미 한강하구에서 사라져
상태바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 재두루미 한강하구에서 사라져
  • 송민수 기자
  • 승인 2019.01.28 17: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위기의 재두루미
▲ 홍도평.

1992년부터 현재까지 한강하구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주요 종을 관찰해온 사단법인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가 80년대 초 한강하구는 재두루미 3000여 마리가 월동하는 우리나라 최대의 월동지였다고 밝혔다.

한강하구 갯벌 농경지 개간사업으로 인한 환경훼손으로 재두루미 서식이 힘들어지고 타 지역인 철원, 연천 등의 민통선 지역으로 월동지역을 옮겨갔다.

특히 많은 수의 재두루미와 흑두루미가 일본 가고시마 이즈미를 월동지역으로 선택한 것은 우리나라의 환경이 얼마나 열악한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부끄러운 사례다.

1992년 김포시 북변동 홍도평야에서 재두루미 7개체가 관찰된 이후 2001년에 120마리까지 증가해 한강하구의 명맥을 유지했지만 각종 개발사업과 농경지 매립으로 다시 감소했으며, 특히 경인아라뱃길 사업으로 급격한 생태변화가 초래되었다.

재두루미는 2011년 23개체, 2012년 15개체, 2013년 12개체로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재두루미의 주요 먹이터인 김포시 북변동 홍도평야 그리고 고촌읍 태리, 평리 평야를 포함해 2018년 기준 10개체의 재두루미가 월동을 하고 있다.

무분별한 농경지 매립이 재두루미 개체 수 감소의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특히 재두루미의 잠자리인 장항습지의 개방으로 재두루미의 겨울나기는 더욱 더 힘들 것으로 보인다.

해당 지역의 지자체와 환경부는 한강하구 재두루미 보호를 위한 적극적인 계획을 수립해야한다.

한강하구는 더 이상 재두루미를 볼 수 없을지도 모르는 환경적 위기를 맞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