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일 행정안전부가 여론조사기관 ㈜아시아리서치앤컨설팅와 ㈜케이피이엠에 의뢰해 설문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야시장과 골목상권 방문자의 73.2%가 주민이었다.
침체한 지역 상권을 살리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시행 중인 행안부의 ‘야시장 조성 및 골목경제 활성화 사업’으로 인한 외부 관광객 유입 효과가 적다는 얘기다.
야시장 이용자의 65.0%가 주민, 35.0%가 관광객(내국인 34.1%·외국인 0.9%)으로 나타났다. 이용자의 44.0%가 처음 방문했고, 41.4%는 한 달에 한 번 빈도로 찾았다.
야시장 이용 후 주변상가를 방문한 경험이 있는 비율은 56.7%에 불과했으며, 10명 중 1명(10.1%)은 야시장을 재방문할 의향이 없다고 답변했다.
야시장 이용이 만족스러웠다는 응답이 67.4%(다소 만족 44.9%·매우 만족 22.5%)로 ‘불만족’(5.5%, 다소 불만족 4.2%·매우 불만족 1.3%) 비율보다 월등히 높았는데도 나온 결과라는 점에서 염려된다.
불만족 이유로는 ‘협소한 규모’(25.4%)를 1순위로 꼽혔다. 복잡한 시설·환경 23.7%, 기대 이하의 먹거리 메뉴 16.9%, 비싼 가격대 11.9%, 야시장의 특색 없음 6.8%가 뒤를 이었다.
골목상권은 야시장보다도 외부 손님이 더 적었다. 주민이 이용자의 81.4%에 달했고, 관광객은 고작 18.6%(내국인 17.5%·외국인 1.1%)뿐이었다.
이용자 방문 횟수는 ‘1주일에 한 번’(58.5%)이 가장 많았지만, 골목경제 활성화 지역으로 선정된 사실조차 모르는 경우(43.5%)가 태반이었다.
이용자의 10.7%는 골목상권 이용에 불만족스럽다고 느꼈고, 2.8%는 재방문 의사가 없다고 했다. 그 이유로는 주차공간 협소(44.4%)와 노후된 건물의 위험성(27.8%)을 들었다.
이렇다보니 야시장과 골목상권 상인들의 매출은 사업 시행 전보다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
야시장 주변 상인의 45.4%가 현재 매출이 야시장 조성 전과 비슷하다고 했고, 24.8%는 되레 줄었다고 답했다. 29.8%만 매출 증대 효과를 봤다.
골목상권 상인의 경우 44.0%가 사업 시행 전과 매출이 비슷하다고 답변했다. 매출이 감소한 상인은 29.8%로 늘었다는 비율(26.2%)보다 많았다. 매출이 감소한 상인의 월평균 감소 매출액은 277만5000원, 매출이 증가했다는 상인의 월평균 증가 매출액은 130만8000원이었다.
야시장과 골목상권 운영이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바가 없다고 인식하는 비율은 각각 6.7%, 27.4%로 조사됐다.
행안부 관계자는 “조사에서 파악된 야시장과 골목상권의 운영 실태와 문제점을 사업 공모의 방향을 수립하는 근거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